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깍듯한호랑이111
깍듯한호랑이111

치매노인의 행동에 대해 대처하는 방법

성별
여성
나이대
27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경증 치매 노인과 함께 거주하고있는 가족입니다


치매의 증상중 망상(?)과 헛것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는데 가족인지라 자꾸 감정이 앞서서 화가 납니다

(ex , 보이지않는 것이 벽에 기어다닌다고해서 잠잘때 빼고는 온집을 돌아다니며 구석진 부분에 나무 막대기로 벽을 쑤십니다 )


그 외 누군가를 까먹었다던지 밥먹은걸 잊었다던지 길을 잃는다던지 똥칠을 하는 경우는 아닙니다


침착하게 대처해서 말을 이어나가려해도 대화가 원활하게 되지않아 더욱 다 답답함이 큽니다 특히나 자야할 시간에는 시끄러우니 더더욱 힘들구요


경증치매노인이라 가족의 보살핌이 가장 좋다고 들었는데

자꾸 이상행동을 했을때 어떤식으로 대처해야하는지 현명하게 대처하려고해도 마땅한 방법이 떠오르지않네요


다양한 케이스를 보신 전문가님의 답변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푸른하늘이
      푸른하늘이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임상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치매에는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노인성 치매, 중풍 등으로 인해 생기는 혈관성 치매가 있습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한 치매가 있습니다.

      치매의 임상 경과는 원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입니다. 이를 일률적으로 기술하기는 무척 어렵습니다. 일부 치매(예: 영양 결핍, 염증에 의한 치매 등)의 경우는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매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인지 기능 장애가 서서히 일어나서 점차 증상이 심해지는 경과를 보입니다. 따라서 호전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치매의 증상 및 종류는 다양합니다. 현재까지 발생 기전이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고,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도 없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것은 두뇌 회전을 많이 시킬 수 있는 놀이나 독서입니다. 건전한 수준의 게임, 바둑, 카드놀이와 같은 종합적인 인지 능력을 요구하는 놀이가 건망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신문,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것이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고 생선과 야채를 즐겨 먹어야 합니다.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꾸준한 걷는 운동은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지나친 음주와 흡연을 삼가야 합니다. 술과 담배는 기억력 등의 인지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부족은 기억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메모하는 생활을 습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