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한가한듀공86
한가한듀공86

써지전류는 어떤경우에 발생을 하는건가요?

제가 전기관련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써지전류는 어떤경우에 자주 발생을 하나요? 그리고 써지전류를 방지하거나 예방하려면 어떻해 해야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써지전류는 주로 낙뢰, 전력선의 급격한 차단 또는 연결, 대형 전기 장비의 작동 초기 등에 발생합니다. 전기 시스템에 갑작스러운 큰 전류가 흐르는 현상으로, 전기 설비나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써지 보호장치(SPD)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접지 시스템을 강화해 전기를 안전하게 분산시키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예방 조치를 통해 전기 설비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써지 전류는 일반적으로 전기 시스템에서의 갑작스러운 전압 상승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로 번개, 전력 회사의 스위칭 작업, 대형 전기 기기의 작동 시 발생할 수 있죠. 써지 전류를 방지하거나 예방하기 위해서는 번개 보호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써지 보호 장치(Surge Protection Device, SPD)를 사용하여 전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접지 시스템을 잘 설계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높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서지 전류는 갑자기 가해지는 큰 전류를 말합니다. 이런 전류로 인해서 전자기기의 저항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열이 발생되면서 전자기기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이런 서지 전류는 흔히 아는 낙뢰나 정전기등이 있습니다. 이런 서지 전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전기를 예방하는 것과 같습니다. 정전기 방지를 위해서 이온샤워나 정전기 방지 링등을 사용하여야하고 실내의 습도도 50~60%유지하고 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지전류는 갑작스럽게 짧은 시간동안 발생하는 과도한 전류이며, 여러가지 경우에 따라 나타납니다. 대표적으로 전력량이 큰 기기의 전원을 끄거나 켤 때, 또는 정전 후 갑자기 복구되었을 경우, 전기 아크가 발생했을 경우 등이 있습니다. 또한 자연적인 원인으로 번개가 직접적으로 전선에 떨어질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서지 보호 장치를 설치하거나, 피뢰침, 접지 등과 같이 전류를 땅으로 유도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 서지가 발생하는 원인은 고전압이나 고전류가 갑자기 유입되서 접지전위가 급상승해서 발생하는데,

    전기설비인 경우에는 낙뢰나 천둥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전자회로인 경우, 서지로 인해서 갑작스럽게 칩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래서 전자회로의 경구, 칩 주변에 갑작스런 전위차로 인한 서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보호회로나 캐패시터 등을 부착합니다.

  • 안녕하세요

    써지 전류는 낙뢰 전력선 결함 기기의 on/off 스위칭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낙뢰가 빈번한 여름철이나 전력 공급이 불안정한 지역에서 더욱 자주 발생 합니다

    써지 전류로부터 전자 기기를 보호하려면 전원 콘센트나 분전반에 SPD를 설치하면 써지 전류를 차단하거나 중요한 기기를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하지 않고 여러 곳에 분산하여 연결하면 써지 전류가 한 번에 여러 기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