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소득의 증가가 PCE 지수의 상승과도 연관이 되나요?

조금 있으면 미국의 PCE 지수가 발표되는데

PCE지수는 기름, 가스와 같은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 상승에 영향을 준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단순한 개인의 소득의 증가 역시 PCE 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나요?

소득의 증가로 인한 PCE 상승과 에너지, 주거비 증가로 인한 PCE 상승은

모두 경제에 좋지 않은 신호인지 아니면 소득의 증가로 인한 PCE 상승은 좋은 신호인지 등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의 증가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기 때문에 소비지출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여기서 고려할 것은 소득의 상승속도보다 인플레이션율의 상승이 더 빠른 경우에는 PCE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을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PCE 지수와 같은 경우 소득의

      증가가 반영되기보다는 아무래도 물건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지불한 모든 비용을 합산하기에 PCE 지수에 영향을 줄 여지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미국의 PCE지수와 개인 소득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난 2024년 2월에 발표된 지수로 보자면

      PCE 지수가 2.8% 오를 동안 미국의 개인 소득은 0.3% 오르는 것에 그쳤습니다.

      그렇기에 큰 연관성이 있다고 보여지진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CE) 물가지수는 PCE 디플레이터라고도 하며, 국내 소비 물가의 전체 평균 상승도에 대한 미국 전역 지표입니다. 보통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지출도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