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해가지지않아45
해가지지않아45

수소결합이 단백질의 3차 구조 형성과 생물학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방식은?

안녕하세요. 수소결합의 경우 단백질의 형태를 유지시킨다고 하는데, 수소결합이 단백질의 3차 구조 형성과 생물학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화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단백질의 3차 구조는 단백질이 기능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입체적인 형태를 결정하는 핵심 구조입니다.,그중에서도 수소결합은 단백질의 입체 구조를 형성하고 안정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이어진 1차 구조가 접히고 굽혀지면서 α-나선, β-병풍 같은 2차 구조를 형성하는데요, 이 2차 구조들이 다시 서로 상호작용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고유한 입체 구조를 만드는 것이 바로 3차 구조입니다. 이때 수소결합은 단백질 구조 전반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안정화 요인인데요 수소결합은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O, N, F) 에 공유 결합된 수소가, 다른 분자의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와 정전기적 인력으로 약하게 끌려 형성되는 결합입니다. 이 결합은 공유결합보다는 약하지만 단백질 내에서는 수백 개 이상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전체 구조를 매우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미노산의 곁사슬 중 –OH, –NH₂, –COOH 등을 가진 극성 잔기들은 서로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단백질이 특정 방향으로 접히도록 유도하는데요, 예를 들어 세린(Ser), 트레오닌(Thr), 아스파라긴(Asn), 글루타민(Gln) 잔기 등이 이런 결합을 잘 형성합니다.

    또한 단백질은 소수성 잔기가 내부로, 친수성 잔기가 외부로 향하도록 접히는데, 내부의 극성기들이 남지 않도록 내부 수소결합이 형성되어 구조적 틀을 고정합니다. 게다가 수소결합은 단백질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생물학적 기능을 보장하는데요, 온도 변화나 pH 변화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킵니다. 수많은 수소결합이 그물처럼 단백질을 묶어주기 때문에, 단백질이 쉽게 변성되지 않습니다. 또한 효소의 활성 부위나 수용체의 결합 부위는 특정 입체적 배열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수소결합이 이 구조를 고정시켜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네 알고계신데로 수소결합은 단백질의 구조를 유지시키고 형성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은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수소가 산소, 질소, 플로오르 등과 수소결합을 만들어 유지하고 있기에 안정된 구조를 유지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소결합이 공유결합보다는 약하지만 훨씬 많은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전체구조가 안정되게 해줍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