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어떻게 생겼는지
하늘에 떠있는 구름은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하네요 먹구름은 왜 생겨 비구름을 만드는 것일까요
참으로 궁금하고 알고 싶네요 가르쳐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아지면, 이 수증기가 응결할 수 있는 조건이되며 주로 바다, 호수, 강 등의 물이 증발하면서 대기 중에 수증기가 공급됩니다. 공기가 상승하면 온도가 낮아지고,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수증기가 응결하여 작은 물방울로 변하게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구름을 형성하게 되는 것 이지요. 일반적으로 공기가 상승하는 이유는 태양열에 의해 지표면이 가열되어 공기가 상승하거나, 산을 넘을 때 공기가 상승하는 경우 만드렁지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가 응결하려면 응결핵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응결핵은 대기중의 먼지나 소금알갱이 등의 작은 입자들로서 물방울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지요~먹구름은 일반적으로 비나 눈을 가지는 구름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태양빛을 차단하며 어두운 색을 보이게 합니다~ 먹구름은 대기 중의 수분이 매우 많을 때 형성되며 공기가 빠르게 상승하여 대기가 불안정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날이 덥습니다!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