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소격서는 어떤 관청이고 조광조는 왜 소격서 폐지를 주장했나요?

고려시대에도 소격서와 유사한 관청들이 있었고

조선까지 이어진 것이 소격서라고 하더군요

당시 소격서는 어떤 일을 하던 관청이었나요?

조광조가 끈질기에 폐지 주장을 해서

결국 폐지가 되었던데

조광조는 왜 소격서를 폐지하려 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교식 제천의식을 관장하는 관청이었던 소격서는 정치경제적으로 딱히 중요한 역할도, 기능을 하는 곳도 아니었지만 정통 성리학으로 유교 정치를 추구했던 조광조의 눈에 이단인 도교의 잔재가 왕실에 남아있다는건 용납되기 어려웠고 중종 입장에서는 선왕들도 건드리지 않았던 전통을 굳이 자기 손으로 없애 는게 마뜩지 않은 일이었을뿐 아니라 왕의 권위가 하늘에서 온 것이라는 상징적 장소를 굳이 없애고 싶지 않았기에 조광조와 중종은 강하게 맞섰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격서는 도교의 초제를 거행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입니다. 즉 신선과 별자리에 제사 의식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소격서는 도교의 상징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성리학 관료들은 페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결국 1518년 조광조 등 사림들의 강력한 건의를 통해 혁파되었습니다. 하지만 기묘사화로 다시 설치되었다가 임진왜란 이후 완전히 폐지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격서는 도교 행사를 주관하고 교육하는 기관입니다. 조광조는 성리학자로서 성리학에 기반한 나라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폐지를 주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