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대표할만한 메타버스에 대한 질문
메타버스라는 말을 많이 들어 봤는데요, 온라인 상에서 가상공간이라는 개념만 막연하게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메타버스는 우리나라에 대표적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만들어지는 메타버스 공간이라고 한다면 아무래도 게임 내의 모든 공간들이 사실상 메타버스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니지나 혹은 여러게임들의 공간이 메타버스라고 해도 되요
질문해주신 한국의 대표적인 메타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잘 알려진 메타버스 플랫폼은 제페*라는 곳으로
가장 많은 유저들이 접속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가입자가 전세계적으로 1억 명이 넘어서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아직 명확한 정의가 없지만, 보통은 현실 세계와 유사한 사회 및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 가상 공간을 가리킵니다. 이는 증강 현실(ar), 가상 세계(vr), 라이프 로깅 등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메타버스가 존재합니다.
국내에서는 제페토와 로블록스 등이 대표적인 메타버스로 꼽힙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공간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현실과는 다른 경험을 할 수 있게 합니다.
메타버스는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아바타로 만날 수 있는 가상 세계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의 제페토가 유명합니다. 제페토에서 아바타로 친구들을 만나고 다양한 게임과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카카오의 이프랜드도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가상 공간에서 사람들과 소통하고 컨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국내 메타버스의 경우, 해외에 비해 인기가 많이 줄어들었으며 이용자들, 수익성 등에 있어서 한계가 많아 메타버스가 활발하지 않습니다.
그나마, 국내를 대표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로는 네이버사의 제페토, SKT의 이프랜드가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메타버스는 현실을 초월한 새로운 가상세계를 의미하는데, 세컨드 라이프와 같은 3차원을 기반으로하는 플랫폼이나 각종 SNS, 사이버 대학에서의 인터넷 기반 개방형 수업 플랫폼인 MOOC 등에서 활용되고 있고 이는 모두 가상 세상의 성격을 가지고 메타버스는 이러한 모든 개념을 포괄하는 상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메타버스는 게임, 교육, 공연, 쇼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예시로는 로블록스, 제페토, 어스2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BGF 리테일(CU 편의점)은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 내에서 CU 제페토 한강 공원점을 개점하였습니다. 실제 편의점처럼 동일하게 상품을 진열하였으며, 편의점 건물 옥상에서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롯데 하이마트는 가상 플랫폼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 자체 브랜드인 HI MADE 섬을 만들었습니다. 이곳에서 다양한 자사 인기 제품을 홍보하며 포토존을 개시하여 인기 상품을 촬영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명품 브랜드인 구찌는 제페토 게임 속에서 착용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을 선보였습니다.실제 이탈리아에 있는 구찌 본사를 그대로 제페토 게임속에서 만들어 사람들이 게임 속에서 상품을 착용해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제페토는 구찌의 성공적인 사례를 기반으로 크리스찬 디올과 메이크업 컬렉션 콜라보를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