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9.09

비행기가 지나갈때 뒷쪽에 구름이 왜생기죠?

비행기지나갈때 뒤에생기는 구름

이거왜생기는거죠?

하늘을 보면 길죽하게 구름이 생겨있는걸 자주 목격하는데 비행기나 전투기가 지나갈때 생기는 구름이라고 하더라구요

왜 구름이 일자로 생기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행기가 지나갈 때 생기는 흰 선 모양도 일종의 구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만들어지는 원리 역시 자연적인 구름이 만들어 지는 원리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구름은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단열냉각돼 수증기가 과포화 상태에 이를 때 물방울이나 작은 얼음알갱이가 나타남으로써 생깁니다. 반면 비행기가 지나간 후에 생기는 구름, 즉 비행운(飛行雲)은 엔진이 연소할 때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기가스에 섞여 배출되면서 응축돼 작은 얼음알갱이를 형성해 생겨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리고 드문 경우이기는 하지만, 대기중의 수증기가 거의 포화 상태일 때 빠른 속도로 공기를 가르고 지나가는 비행기의 날개 끝에서 소용돌이가 생기면서 공기의 압력과 온도가 떨어져 비행운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러한 비행운은 시간이 지나면 점차 사라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주위의 상대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시간 이상 지속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자연의 구름과 거의 구분되지 않는 상태에 이르기도 합니다.


  • 되알진고니1
    되알진고니120.09.11

    비행기가 육안으로 보이는 시점에서 부터 비행기 날개 뒤로 하얀 구름 같은게 보이는 거라면 착륙을 위한 절차인 연료를 버리는 "Fuel Dumping"을 하고 있는 것 입니다.

    비행기는 자동차와는 달리 이륙시의 중량과 착륙시의 중량이 거의 동일해야만 안전한 착륙을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착륙시 무게 하중, 즉 추가로 주입된 항공유가 착륙시 기체 랜딩기어에 주는 하중으로 인하여 랜딩시 큰 사고가 나는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입니다. 일반 자가용같은 경우는 어디를 가든간에 어느정도 연료 탱크에 휘발유나 경유를 여유 있게 넣어놓아도 아무 문제가 없지만 항공기는 철저한 계산에 의거하여 메인 연료, 예비연료, 비상연료를 짜맞추어 주입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비록 항공유가 비싼 연료이기는 하나 항공기 자체가 무게에 민감한 기체이기 때문에 착륙지에 거의 다 도착을 하면 지체 없이 남은 연료를 바깥으로 방출하여 기체의 무게를 가볍게 만들어 착륙시 부하를 덜어내는 것입니다.

    이렇게 바깥으로 방출된 항공유는 일반 휘발유보다 휘발성이 높아서 대지로 가라앉지 않고 대기속에서 그대로 증발하여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