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물이 왜 색을 진하게 만드나요?

물같은 경우 옷이나 돌, 흙 부분에 묻을 경우 그 색을 진하게 하잖아요.

토양색도 진하게 하던데, 따로 염료가 없는데도 이런 반응은 왜 일어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색이 보이게 되는 원리는 빛의 반사로 인한 것인데요

    돌이나 흙 등이 물이 묻을경우 햇빛의 반사율이 떨어지게 되어 평소보다 더 어둡게 보이게 되는 것 입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옷감의 표면은 확대경으로 보면 울퉁불통하여 정반사가 아닌 난반사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여러 빛이 동시에 반사하니 흰 빛도 생기겠죠. 그래서 연해 보입니다.

    그런데 물이 묻으면 물 때문에 표면이 원래보다는 고르게(평평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그래서 거의 정반사를 하니까 색깔이 더 진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이 색을 분별하는것은 물질의 반사된 색을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반 섬유같은 경우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서 난반사가 나타나는데 물이 뭍으면 그부분이 매끄러워져서 난반사가 줄어듬에 빛의 총 반사량도 줄어듭니다.

    그래서 물이 묻은 부분은 색이 어두워지는 원리입니다.흙도 마찬가지로 반사량이 줄어들어 진하게 보이는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