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장어는 회유성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이유인가요

연어는 대표적으로 회유성을 갖고 있는 어류인데요 그런데 장어도 대표적인 회유성 어류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장어는 회유성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장어들중에서도 뱀장어가 회유성이 높다고합니다.

    성숙해지고 산란이 가능한 뱀장어는 바다로 나가 알을 낳습니다. 알에서 태어난 유생들은 해류를타고 수천키로미터 바깥으로 나아가서 레프토 세팔루스 라는 형태와 투명한 어린뱀장어가 되어 생장합니다.

    이후 민물로다시돌아와 성숙하는 시간을 가지고 성체가되면 다시 산란지로 이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장어는 소하성 생애 주기를 갖습니다. 대부분 민물이나 강 하구에서 보내지만, 산란을 위해서는 바다로 갑니다. 이는 서로 다른 환경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민물은 성장에 적합하고 바다는 번식에 적합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감사합니다.

  • 장어는 유생 시절 바다에서 부화하여 뱀장어 모습으로 변태한 후 강으로 올라옵니다.

    이후 강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며 성장합니다. 성장을 마친 장어는 다시금 깊은 바다로 내려가 산란을 합니다. 이때 장어는 수천 킬로미터를 이동하며, 산란 후에는 폐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어가 이렇게 먼 거리를 이동하며 번식을 하는 이유는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아직까지 장어의 회유에 대한 모든 것이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유를 막론하고 결론적으로, 장어가 회유를 하는 이유는 종족 번식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찾고 유전자를 보존하기 위함입니다.

  • 장어가 회유성을 가진 이유는 생식과 생존에 유리한 환경을 찾기 위한 생태적 적응 때문입니다. 유럽장어나 일본장어 같은 종은 주로 민물에서 성장하다가 번식을 위해 먼 바다로 이동합니다. 이는 번식과 산란에 적합한 환경, 특히 온도, 염도, 먹이 조건 등을 찾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일본장어는 태평양의 마리아나 해구 부근에서 산란 후 새끼가 부화하여 해류를 따라 민물로 이동해 자라며, 성체가 되면 다시 바다로 돌아갑니다. 이러한 회유성은 세대를 이어가기 위해 필수적인 생존 전략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회유성 어종이란 산란이나 여러 목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는 물고기를 의미합니다. 장어가 효율성인 이유는 산란이나 번식을 위해서 입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