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짓굳은박새256
짓굳은박새25623.10.11

구한말에 청나라와 일본은 왜 조선 땅에서 전쟁을 벌였는지 역사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구한말에 우리나라 땅에서 청나라와 일본이 자신들의 군대를 끌고 들어와 청일전쟁을 벌였는데 왜 우리 땅에서 전쟁을 벌였는지 그 역사적 배경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76년 일본은 청의 간섭을 배제한 채 조일수호조규를 체결, 한편 청은 일본의 조선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조선으로 하여금 서양 각국과도 조약을 맺도록 조언합니다.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적극적으로 개입해 조선에서 주도권을 잡았고, 1884년 일본의 지원을 받은 개화파가 갑신정변을 일으키가 이를 3일만에 진압합니다. 두 사건에서 청이 우세하고 일본이 약세를 보이자 일본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전략을 추진, 다음해 청과 일본은 톈진조약을 체결하여 양국 군대의 철수를 약속하고 이후 조선에 출병 할 때 상호 통고하기로 약속합니다.

    이에 청과 일본의 군대는 조선으로부터 철수하나 청은 위안스카이를 조선에 상주, 조선의 내치와 외교에 대한 간섭을 강화합니다.

    1894년 조선에서 동학농민운동이 발생, 위기에 처한 조선은 청에 지원을 요청, 청은 섭사상, 섭지초와 3000명의 군인을 아산만으로 파병한 뒤 일본에 이를 통보합니다.

    일본은 톈진조약에 근거해 오시마 요시마사와 7000명의 군인을 인천으로 보냈고, 청과 일본이 군대를 파병하자 동학농민군은 조선 조정과 전주 화약을 맺고 해산, 양국은 조선에 주둔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이에 청은 일본에 대한 공동 철병할 것을 제안, 일본은 양국이 공동으로 조선의 내정을 개혁하자고 제안, 청은 일본의 제안을 거절합니다.

    일본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상품시장과 원료 공급지의 안정적인 획득을 도모, 이를 위해 청과의 전쟁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또한 이후 조선 , 타이완 등지로 진출하고자 했습니다. 반면 청은 조선과의 전통적인 관계를 통해 조선에서의 이익을 유지하려했고, 청과 일본은 조선에서의 충돌을 앞두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