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수많은 수입품 중 마약을 검사하는 방법이 궁금해요~
우리나라는 24시간 상시 통관 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종일 수입물품들이 들어오잖아요. 그런데 마약 가루를 다른 곡식이나 영양제, 원료 등의 가루와는 어떻게 구별해서 검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마약류 적발하는 과정 팔로우
X-RAY 검사 및 선별 업무: 먼저 물품을 X-RAY로 검사하고, 그 결과물을 선별하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컨베이어 라인, 물품 검사대 개장 검사 장면: 검사대에서는 컨베이어 라인을 통해 흘러오는 물품들을 개봉하여 내부를 점검합니다.
불법 물품 감지하고 현장에서 씰 다는 장면 팔로우: 의심되는 물품을 발견하면 즉시 현장에서 봉인을 하며, 조치를 취하는 과정이 담깁니다.
교묘한 방법으로 숨겨져 들어오는 마약들: 마약이 숨겨진 교묘한 방법들이 어떻게 해결되는지를 보여줍니다.
마약으로 의심되면 마약정밀검사 의뢰, 마약 의심물품 이온스캐너 검사: 의심스러운 물품은 마약정밀검사를 의뢰하고, 이온스캐너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합니다.
마약 단속 2차 관문, ‘마약 탐지견과 핸들러 물품 검사’
컨베이어 벨트 위를 걸어다니며 우편물마다 코를 갖다 대고 냄새를 맡는 탐지견: 마약을 탐지하는 훈련된 개들이 컨베이어 벨트 위를 따라 걸어다니며 물품을 냄새로 감지합니다.
인천본부세관에 있는 총 5마리의 탐지견: 5마리의 개가 교대로 일하며, 각각 30분에서 1시간 동안 마약을 탐지하는 업무에 참여합니다.
탐지견과 짝을 지어 탐지 업무에 나서는 핸들러: 탐지견을 조종하여 마약을 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직원들에 대한 소개가 포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한국은 마약 밀수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X선 투시 검사방법은 수입 화물을 X선 기기를 통해 투시하여 밀폐된 용기에 숨겨진 마약을 찾는 방법으로 마약은 일반 밀매 물품과 밀도나 X선 투과율이 다르기 때문에 X선 영상에서 구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약탐지견을 통한 검사를 하거나 의심되는 물품을 샘플링하여 화학 분석을 통해 마약 성분을 검출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마약류의 검사는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여러가지 검사방법들이 있을텐데 최근에는 해외와의 공조도 강화되는 모양새입니다.
또한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89367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6469#home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세관의 마약검사 절차는 X-RAY 검사 및 선별 업무가 진행됩니다. 그 후에는 컨베이어 라인과 물품 검사대에서 불법 물품이 감지되고, 이에 대한 현장에서의 조치가 이루어지는 장면을 다룹니다. 교묘한 방법으로 숨겨져 들어오는 마약들이 발견되는 과정이 엿보이며, 마약으로 의심되는 물품에 대해서는 마약정밀검사가 의뢰되고 마약 의심물품에 대해서는 이온스캐너를 통한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마약 가루는 다른 가루와 구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마약 가루는 일반적으로 다른 가루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녹고, 더 강한 냄새를 풍기며, 더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합니다. 또한, 마약 가루는 일반적으로 다른 가루보다 더 많은 양의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이용하여 마약 가루를 다른 가루와 구별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수입물품을 모두 검사할 수는 없습니다. 곡식, 영양제, 원료 등도 현품검사나 요건에 따른 정밀검사 등이 아니면 정확한 확인은 불가합니다.
검사 선별되거나 서류확인, 검색기 등의 방법으로 검사하여 우범화물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해당건의 경우에는 관세청에서 자체적으로 여러가지 방법을 통하여 적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러한 적발방법의 경우 대외비이기에 정확하게 어떠한 방법으로 마약을 확인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보통은 물품에 대한 X-RAY 검사, 초도수입물량 검사 등으로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관세청의 데이터를 통하여 이러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