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설탕물에 메추리알이 왜 뜨는지 과학적 이유 알려주세요.

물에 설탕을 조금 넣은것과 많이 넣어서 저을 경우에 많이 넣은쪽에 방울토마토나 메추리알을 넣으면 가라앉을거라고 예상했는데요. 우연히 영상을 보다가 궁금해서요. 왜 설탕을 많이 넣을수록 무거운게 뜨는지 과학적 이유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아테나
    아테나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도의 차이 때문입니다.


    물에 설탕물을 넣으면,

    설탕물의 밀도는 물보다 무거워집니다.


    설탕물에 색소를 넣고, 그 위에 물을 스포이드로 조심스럽게 떨어뜨리면,

    물은 색소 설탕물 위에 뜨게 됩니다. 밀도의 차이 때문이죠.




    여기서 밀도란, "물질의 비중"을 말합니다.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이 되겠지요.




    밀도가 낮은것이 위로 뜨게 되어 있습니다.





    즉, 메추리알의 밀도는 설탕물보다 낮기 때문에, 그 위에 뜨는겁니다.

    (같은 원리로, 소금물에도 메추리알이 뜹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설탕물에 메추리알 뜨는 이유는 물의 밀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설탕을 물에 녹이면 설탕이 물 분자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여 물의 밀도를 높여 메추리알이 물에 뜨게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설탕이 녹음으로서 물의 밀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방울토마토가 가라앉지 않습니다.

    설탕의 농도가 짙어질수로 밀도는 올라갑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설탕물에 메추리알이 떠오르는 현상은 부력의 원리에 기반합니다. 아래는 과학적인 이유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부력: 메추리알이 떠오르는 현상은 부력이라는 힘에 의해 발생합니다. 부력은 액체나 가스 속에서 물체가 떠오르거나 가라앉는 힘입니다. 액체나 가스는 물체를 지지하는 압력을 생성하는데, 이 압력이 물체의 무게와 같거나 더 크면 물체는 떠오릅니다.

    2. 밀도 차이: 설탕물과 메추리알은 각각 다른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설탕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며, 메추리알은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가집니다. 밀도는 물체의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더 밀도가 낮은 물체는 더 가벼워 보입니다.

    3. 부력의 작용: 설탕물에 메추리알을 넣으면 메추리알은 설탕물 위에 떠오릅니다. 이는 메추리알의 부피가 설탕물에서 밀도가 낮기 때문에 설탕물이 제공하는 부력이 메추리알의 무게를 상쇄시키기 때문입니다. 설탕물은 메추리알 주위의 액체를 지지하는 압력을 생성하고, 이 압력이 메추리알의 무게와 같아지면 메추리알은 떠오르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설탕물에 메추리알이 떠오르는 것은 메추리알의 상대적인 밀도가 낮기 때문에 설탕물이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부력의 원리를 통해 설명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설탕을 물에 더 많이 넣을 때 무거운 물체가 뜨는 현상은 밀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밀도는 물체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물체의 무게 분포와 관련이 있습니다.

    설탕을 물에 더 많이 넣을수록 설탕이 물 분자와 상호 작용하여 설탕-물 용액을 형성합니다. 이 때, 설탕이 용액에 녹을 때 설탕 입자들은 물 분자와 상호 작용하여 용액 내에서 분산됩니다.

    이 용액에서 설탕이 많이 녹을수록 용액의 밀도가 증가합니다. 이는 물 분자와 설탕 입자의 결합으로 인해 용액 내 입자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밀도가 증가하면 용액의 무게 분포도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물체가 뜨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가라앉는 물체의 경우, 물체의 밀도가 용액의 밀도보다 크면 물체는 가라앉게 됩니다. 그러나 설탕이 많이 녹은 용액은 물 분자와 설탕 입자의 결합으로 인해 밀도가 증가하므로, 물체의 밀도가 용액의 밀도보다 높아져 물체가 가라앉는 것보다 가라앉지 않는 것이 더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설탕이 많이 녹은 용액에서는 무거운 물체가 뜨는 것이 예상됩니다. 다만, 설탕 농도에 따라서는 물체가 가라앉을 수도 있고 부유할 수도 있으며, 농도와 물체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 전문가입니다.

    우선 밀도의 개념을 아셔야 할 것 같습니다.

    밀도라 함은 단위 부피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 입니다.

    예시로 똑같은 100g이라고 하더라도 공기가 들어 있는 100g은 부피가 매우 크고, 설탕 100g은 부피가 매우 작습니다.

    물 속에는 설탕이 녹게 되며, 정확하게는 물 분자 사이사이로 설탕 분자들이 들어가게되므로

    설탕물의 밀도(즉 비중)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에 따라 물보다 무겁고 설탕보다 무거운 물질들이 물 위에서 위로 뜨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메추리 알의 밀도가 설탕물보다 낮기 때문에, 그 위에 뜨는 것이에요. 밀도가 낮은 것이 위로 뜬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이유는 농도가 짙을수록 메추리 알은 뜨고 낮을수록 가라앉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설탕물에 메추리알이 뜨는 이유는 밀도의 차이 때문입니다. 설탕물은 물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메추리알과 같은 작은 물체는 설탕물에 떠오르게 됩니다.

    메추리알은 물의 밀도보다 약간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메추리알이 설탕물에 떠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아치메데스의 원라고도 하는데, 이 원리는 물체가 액체나 기체에 떠오르는 크기가 그 물체의 부피와 액체나 기체의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물의 비중은 1입니다. 일반 물에 설탕을 넣으면 녹습니다. 부피는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설탕이 녹아 들어가는 것이죠. 그 만큼 설탕물은 비중이 커집니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메추리알이 뜨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