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주식 투자하는 방식 중에 하나의 마법공식은 무엇인가요?

주식 투자와 관련된 글 중에

"오늘의 백테스트는 그 유명한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입니다.그린블라트는 그의 저서 'The Little Book that Beats the Market'에서 자신의 퀀트 전략인 '마법 공식'을 제시하였습니다다음은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온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입니다." 내용에

마법공식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증권거래소 한 곳에서 거래되는 3,500개의 기업을 규모 순으로 나열하고 자본수익률을 기준을 1등부터 3,500등까지 등수를 매겨요. 그리고 이익수익률을 기준으로 똑같이 1등부터 3,500등까지 등수를 매긴 후에 그 등수를 합해요.

      이렇게 합하여서 생긴 등수를 가지고서 1등부터 30등까지 기업을 포트폴리오에 넣고 운영하는 것이 바로 마법의 공식이라고 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마법공식은 전체종목을 대상으로 이익수익율이 높은 순으로 등수를 매기고

      자본수익율이 높은 순으로 등수를 매긴 후, 둘의 등수를 더한 후

      더한 등수가 가장 낮은 수부터 20~30개의 종목을 사서 투자하는 것으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업이익(EBIT) 대비 기업가치(EV)가 낮고, 자본수익률(ROC·영업이익/투자자본)이 높은 20~30개 종목에 투자하는 방법이다. 미국의 전설적인 헤지펀드 투자자 조엘 그린블라트가 사용해 유명해진 기법이다.

      큰 틀에서 보면 우량한 기업 주식을 싸게 사는 가치 투자 방법이다.

      그린블라트가 사용한 자본수익률 산정 공식은 ‘법인세전이익(EBIT)/(유동자산-유동부채) (비유동자산-감가상각비)’다. 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 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채무를 말한다. 비유동자산은 고정자산 등 현금화하는 데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의미한다. 감가상각비는 공장이나 기계설비와 같은 고정자산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지는 만큼을 가격으로 환산한 것이다.

      그린블라트는 이와 함께 이익수익률이 높은 우량 기업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이익수익률 공식은 ‘EBIT/(시가총액 순차입금)’이다. 여기서 순차입금은 총차입금에서 보유 현금유동성을 차감한 것이다. 그는 “마법공식은 가능한 한 가장 싸거나 가장 우수한 것만으론 부족하다”며 “가격과 우수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갖춘 최상의 기업을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린블라트는 단순한 이 공식을 가지고 헤지펀드 매니저로 활동한 20년간 8만3600%의 누적 수익률을 올렸다.

      그의 방법론은 수학적, 통계적인 기법을 활용해 투자 종목을 발굴하는 퀀트 투자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그린블라트는 1985년 고담캐피털이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했다. 2005년까지 이 펀드를 운용하면서 연환산 복리수익률(CAGR) 40%를 기록했다. 1985년에 1억원을 투자했다면 복리로 836억원의 수익을 낼 수 있었던 셈이다.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은 너무 단순한 까닭에 그의 주장대로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그의 투자전략은 미국뿐 아니라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블라트의 전략을 토대로 종목을 선정해 모의투자한 결과, 2002년(블룸버그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시점)부터 작년까지 누적수익률 기준으로 코스피200지수 수익률을 두 배 가까이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마법공식 종목은 우량주 위주의 코스피200지수에 편입된 종목 중 자본수익률과 이익수익률을 기준으로 각각의 순위를 부여한 뒤 평균을 내 상위 20% 종목을 추렸다. 2002년부터 3월 말 결산 기준 실적을 가지고 매년 4월 1일 리밸런싱(종목 교체)하는 방식으로 추산했다.

      그 결과 그린블라트 전략의 16년 누적 수익률은 477%였다. 연환산 복리로 19.58%의 수익률이다. 같은 기간 코스피200지수는 226% 올랐다. 마법공식은 하락장보다는 상승장에서 큰 효과를 발휘했다. 2008년이나 2015년처럼 국내 주식시장이 부진할 때는 마법공식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더 안 좋았다.

      출처:한경경제용어사전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마법공식이라는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물론 각자의 노하우에 따라서 투자기법이라는 것은 있으니 이쪽으로 질문에 답하겠습니다. 하지만 경제나 특정산업이 좋을때와 안좋을때 매매방식이 유연하게 달라져야합니다. 기법 한두가지만 믿고 주식을하면 역으로 당해서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마법공식이란 자본수익률과 이익수익률에 계량분석만을 통하여 순위를 정하고 두 순위를 합산하여 순위가 높은 30-50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