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1.02

병원에 입원하면 다른 환자들로부터 감기 등 다른 질환에 전염될 가능성이 더 높을까요?

제가 심한 독감에 걸려서 회사에 병가를 내고 병원에 며칠 입원하려고 하는데요. 병원에 가면 오히려 병을 얻을 수도 있다라는 말이 있는데, 실제 입원 병동 내에서 감염 질환이 전파될 가능성이 외부에서보다 더 높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푸르스름한청가뢰166입니다. 원이 다양한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모여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며, 공기를 통해 감염이 될 수도 있고, 접촉을 통해 감염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답변일기입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해서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그래도 집에만 있으먼 다른 감염요소가 사라져서 감염병에 걸릴 확률이 제로이지만, 병원은 감염요소를 갖고있는 사람들이 많이있기 때문에 확률이 생기기는 합니다.


  • 조ㅡㄱ안녕하세요. 반가운박각시215입니다. 일단ㅇ병원이라곳 자체가 온갖 병원체들이 득실거립니다 즉 감염된 확륜ㅅ이 더놉됴


  • 안녕하세요. 대담한파랑새117입니다.

    맞아요 괜히 치료하러 병원갔다 병만 얻어온다는 말이 있는게 아니죠

    온갖 아픈사람들만 모이는 곳이니까요


  • 안녕하세요. 도로밍입니다.

    말씀처럼 다인실에 입원할 경우에는 감염병의 전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입원을 꺼리기도 하고요. 가능한 병실 간 간격이 넓고, 가능하다면 다인실보다는 2인실 등으로 입원하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