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지적인노루냥
지적인노루냥22.01.25

교정끝나고 치아 안쪽 철사 붙이는거?

어금니까지 안 붙이는 이유는 뭔가요?...

교정 끝난 사람들 보니까 안쪽 5~6개 치아에만 철사가 달려있던데

치과에 치아 전체에 철사 붙여 달라고

할 수 있는건가요??? ㅠㅠㅠㅠ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25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 교정 유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악 전치부 설면(아래 앞니 안쪽)으로 장착 합니다.

    재발과 근심이동 경향을 막기 위함 입니다.

    • 재발이란 움직인 치아들이 원위치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이고, 이동하는 경우 입니다.

    • 치아의 근심이동 경향(치아가 앞쪽으로 움직이는 성향)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종열 치과의사입니다.

    전체에 굳이 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치석이 잘 생기게 할 수 있고 고정원이 너무 많으면 잇몸에도 안 좋을 수 있고 혀에도 계속 걸리게 될 것이라

    환자분이 많이 불편할 것 입니다 .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교정후 부착하는 고정성 유지장치는 원래 앞니에만 붙입니다.

    어금니까지 붙일 경우 관리가 잘되지 않고 굳이 그럴 필요도 없기때문에 어금니쪽에는 붙이지 않습니다.

    한편 교정 후 치열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가철성 유지장치도 최소 2~3년 착용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어금니까지 유지장치를 붙일 수도 있기는 하지만, 어금니 부위에 부착하게 되면 혀의 불편함이 너무 크기 때문에 어금니까지 부착하지는 않습니다.

    어금니의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안쪽으로 장치를 부착하기 보다는 탈착 가능한 유지장치를 이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교정후 유지장치는 보통 6-8개의 치아를 치아안쪽에 와이어로 붙이게 됩니다.

    전체를 붙일 필요도 없고, 또한 전체를 붙이는것도 쉽지않고 환자분도 불편감이 굉장히 커지기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교정이 끝난 후라도 치아가 원래 상태로 되돌가 갈 수 있기 때문에 철사로 묶어서 치아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주로 앞니가 원래 상태로 잘 되돌아가기 때문에 앞니 6개를 포함하여 8개 정도 치아에 철사를 붙힙니다.

    필요없는 부위까지 굳이 안 붙혀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앞쪽에 붙이는 장치를 FR 장치라고 합니다.

    FR 장치를 붙이는 것은 앞쪽 치아들의 심미성 때문입니다. 교정을 하더라도 나이가 들면서 치아가 앞쪽으로 쏠리는 힘을 많이 받게 되어 앞니가 틀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이러한 틀어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어금니 쪽에는 조금 틀어지더라도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앞니는 틀어질 경우에는 심미적으로 안 좋기 때문에 앞니까지만 붙이는 것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교정 끝나고 유지장치를 하게 됩니다. 교정이 끝나고 앞니 부분들이 잘 틀어지기때문에 그 부위만 유지장치를 하게되죠. 최소 5년이상 착용하셔야되며, 거의 평생 하셔야된다고 보셔도 됩니다. 유지장치를 하게 되면 양치하기도 힘들고 관리도 힘드니 치과를 정기적으로 방문하시면서 관리받으셔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