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가을이오면
가을이오면

산화, 환원 반응이 금속 부식과 방청 처리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십니까.

산화 반응은 부식을 일으키고 반대로 환원 반응은 이를 억제한다고 합니다. 금속의 표면 처리 과정에서 이들이 어떻게 작용하게 되는 것인지 전문가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금속 표면 처리에서 산화 반응은 금속 원자가 전자를 잃고 산화되어 부식층을 형성하게 하므로 부식을 촉진합니다 반면 환원 반응은 산화된 금속이나 표면이 산화층을 전자를 공급하여 되돌리거나 보호층을 형성해 부식을 억제합니다 그래서 도금 아노다이징 방청제 처리 등은 산화 환원 반응을 조절해 금속 표면의 내구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산화와 환원 반응은 표면처리에서 표면의 내부식성, 접착성, 내마모성등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산화는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만드는 현상입니다. 금속표면에 산화물층을 형성시키게 되면 금속내부로 산소의 침투를 막고 금속원소와 산소의 결합을 현저히 늦추게 되어 내식성을 향상시키게 됩니다.

    알루미늄은 자연상태에서 산소와의 산화물층이 형성되어 부식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알루미늄복합피막제를 이용하여 금속표면에 도포하면 이또한 내식성을 향상시킬수 있습니다.

    전기도금의 경우 크로메이트층(산화피막층)을 형성시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리 입니다.

    즉 산화반응은 금속표면의 내식성과 강도, 내마모성을 향상 시킵니다.

    환원반응은 도금전 금속표면의 도금층 부착성을 향상시키기위해 산화물을 제거하는 과정에 이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금속표면의 산화피막을 깨끗히 제거하여 미려하고 불순물이 없는 금속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 됩니다.

    또한 도금전 환원반응을통해 활성화처리를 하고 표면반응성을 높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산화 환원 반응은 부식방지를 위한 핵심 방법 입니다.

    아시는데로 녹을 발생시키는 것이 산화 반응이고 이를 억제하는 것이 환원 반응입니다.

    산화라는 것은 금속이 주변의 물과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녹)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산화과정에서 금속이 가지고 있던 전자를 잃고 이온화가 되는데 이것이 산화 반응입니다.

    환원 이라는 것은 전자를 얻는 다는 것인데 전자를 받기 위한 환원제(음극)이 필요합니다. 환원은 수소나 산소 과정에서 나온 산화과정에서 나온 전자를 받아들이는 과정입니다.

    산화를 막기 위해 방청처리를 하는데 부식될 금속보다 훨씬 반응성이 큰 금속을 연결하여 외부의 금속이 전자를 먼저 내어주고 내부의 전자를 막는 방식으로 방청 처리를 하게 됩니다.

    아니면 외부에 전원을 걸어 강제로 음극으로 만들어 보호를 하기도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