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영리한호아친81
영리한호아친81

광섬유 케이블의 빛의 손실률 실험을 챗지피티에 돌렸는데, 고등학교에서도 똑같이 가능할까요?

실험 조건
  1. 광섬유 길이 비교: 10m와 20m, 다중모드 사용.

  2. 광섬유 종류 비교: 20m 다중모드 vs. 20m 단일모드.

  3. 광손실 측정기를 활용하여 계산함.

측정 값 (가정)
  • 10m 다중모드:

    • 입력 강도: 0.00 dBm

    • 출력 강도: -0.15 dBm

  • 20m 다중모드:

    • 입력 강도: 0.00 dBm

    • 출력 강도: -0.35 dBm

  • 20m 단일모드:

    • 입력 강도: 0.00 dBm

    • 출력 강도: -0.20 dBm

결과 계산
  1. 10m 다중모드: 손실률 = [(0.00 - (-0.15)) / 0.00] × 100 = 3.3%

  2. 20m 다중모드: 손실률 = [(0.00 - (-0.35)) / 0.00] × 100 = 7.6%

  3. 20m 단일모드: 손실률 = [(0.00 - (-0.20)) / 0.00] × 100 = 4.4%

실제 고등학생 실험에서 나올 수 있는 값인지?
  1. 실험에서 나올 가능성:

    • 10m, 20m 다중모드에서 3.3%, 7.6% 손실은 실험 환경이 잘 갖춰졌을 때 가능한 값이야.

    • 다만, 일반 고등학교 장비로는 측정 오차가 크거나, 빛의 손실률이 너무 작아 데이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어.

  2. 손실률 수정 제안:

    • 일반적인 고등학교 실험 환경에서는 손실률이 10m에서 약 1~2%, 20m에서 2~4% 정도로 측정될 가능성이 높아.

    • 만약 장비가 덜 민감하다면, 측정 오차로 인해 더 낮은 손실률(0.5~1%)이 나올 수도 있어.

수정된 손실률 예시
  • 10m 다중모드: 1.8%

  • 20m 다중모드: 3.7%

  • 20m 단일모드: 2.2%

이러한 값을 챗지피티가 불러 주었는데요. 만약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이 실험을 진행한다면 비슷한 값이 나올 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고등학교에서도 해당 실험을 진행하면 유사한 손실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비 한계로 인해 결과에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질문자님의 관심이 고등학교 실험으로 광섬유 손실률을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일반적인 고등학교 실험 장비로 광섬유의 빛 손실률을 정확하게 측정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특히 민감한 광손실 측정 장비가 없는 경우 불균일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는 실험 환경과 장비의 제약으로 인해 측정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챗지피티가 제공한 수정된 손실 값 정도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험은 주로 대학 수준에서 더욱 정확하게 수행되지만, 고등학교에서 실험해보는 것 자체는 교육적인 면에서 매우 유익할 수 있습니다. 다만, 결과 해석 시 장비의 한계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고등학교 실험 환경에서 광섬유의 빛 손실률을 측정할 경우 장비의 민감도와 측정 정확도에 따라 결과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실험 장비가 고급일수록 손실률이 더 정확하게 측정되지만 보급형 장비에서는 오차가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시된 값보다는 손실률이 조금 더 높거나 낮게 측정될 가능성이 있으며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광섬유 손실률 실험은 고등학교에서 충분히 진행할 수 있는 주제입니다. 다만, 실험 결과는 사용되는 장비의 정확도와 실험 환경에 많이 좌우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고등학교 장비로는 빛 손실률이 너무 작거나 데이터의 일관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얻은 손실률은 실험 조건과 장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10m 다중모드 섬유에서 약 1~2%, 20m 다중모드의 경우 2~4% 정도의 손실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가의 정밀 장비가 아닐 경우엔 더 낮은 손실률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질문자님이 제공한 수정된 손실률 값은 고등학교 실험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합리적인 예상치에 가깝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이 실험을 진행한다면 유사한 값을 실험결과로 도출하실거예요. 외부의 영향으로 변수가 없다는 조건에서 말이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고등학교에서 광섬유 손실률 실험을 진행하면 장비의 민감도, 스펙, 환경적 요인 때문에 GPT와 같이 정확한 값이 나오기는 어렵습니다.

    고가의 광손실 측정기가 없다면 오차가 크거나 결과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