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 환율만 상승하는 이유가 뭔가요??
원달러 환율이 다시 1330원을 돌파했는데요. 다른나라들은 환율 변동이 적은데 유독 우리나라만 심한거 같습니다.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이란 각 국가간 화폐의 교환가치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1달러를 바꾸기 위해 우리가 지불해야할 원화를 더 많이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므로
원화가치가 낮아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타 국가에 비해 더 환율편차가 심하다는 것을
한국 원화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뜻이겠죠.
원달러환율 상승기에는 외국의 자금유입이 줄어들거나 국외로 유출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코스피나 코스닥에는 단기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환율이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기준금리 인상을 지속적으로 동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좋아요. 유럽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어서 환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긴축 종료 불확실에 따른 달러 강세와 중국 위안화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미국은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3.2%를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모습을 보였으나,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0.8%로 전월보다 오히려 더 확대되면서 시장의 혼란을 키웠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인사들 사이에서도 향후 긴축 통화정책 유지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주 "인내심을 갖고 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시점에 와 있다"고 말한 반면, 미셸 보우먼 Fed 이사는 "인플레이션을 목표치까지 낮추려면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을 상당히 많이 하며
이에 따라서 지난해 석유가격상승 등으로 달러대비 원화값이
많이 절하되었고 현재도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와 가계부채로 인해 계속되는 금리동결입니다. 환율상승으로 인해 우리도 다음번에 금리가 올라갈여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