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수요일
수요일

지구에대기는 어떻게 이루어져있나요

우리가 평상시에 아무런생각없이 쳐다보는하늘은그저

파랗기만 한데. 과학자들이 말하는 하늘은 우리일반이 생각하는 그런하늘은 아닌것 같은데 어떻게 이루어져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단순히 우리가눈으로 보는 파란 하늘뿐만아니라 다양한 기체가 모여있는 복합적인 존재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질소(78%), 산소(21%), 아르곤(0.93%), 이산화탄소(0.04%), 수증기,네온,헬륨,메탄 등의 기체들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들이 적절하게 섞여 있기에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 된것이지요~ 지구 대기는 고도에 따라 여러 층으로 나뉘며 각각의 층은 4개로 나뉘게 됩니다. 이는 높이에 따라 기온의 변화를 기준으로 나뉘게 되며 대류권(10~15km정도까지이며 기후와 날씨 현상이 이곳에서 발생하며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대기 활동은 다 이곳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기온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낮아지는곳이지요~), 성층권(대류권위에서부터 50km정도까지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상승하는에 오존층으로 인하여 태양에서 오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지구의 생ㅁ여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해주는 곳이지요), 중간권(50~85km정도이며 기온이 다시 낮아지며 유성이 불타는 곳입니다), 열권(85~1000km정도까지이며 요즘음은 외기권도 나누기에 보통 600km정도까지를 나누기도 하며 태양에서 오는 에너지를 가장 많이 흡수하는 지역이며 오로라와 같은 현상이 이곳에서 나타납니다)으로 나누게 되며 대기는 생명체를 보호하며 기후를 조절하고 지구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에너지의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해주지요~우리는 레일리 산란으로 인하여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장이 짧은 푸른 빛이 대기 분자에 의해 산란되어 우리가 하늘색을 더 많이 보게 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