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미국에서는 한 표 차이로 당선된 대통령이 있나요?

미국의 19대 대통령 러더퍼드 헤이스는 정말 1표 차이로 대통령 당선이 됐다는 게 사실인가요?

수많은 국민이 참여하고, 또 선거인단 투표제도라는 독특한 형식의 선거제도가 있다지만 1표 차이가 나는 경우 재투표 없이 당선확정이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거인단 한 명의 표차이로 당선된 대통령이 있는데 미국은 선거인단 한 명이 수만명의 유권자를 대표하기 때문에 단순 한표차이는 아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리더퍼드 헤이스는 대통령 선거 당시 선거인단에서 상대 후보인 새뮤얼 틸던을 1명 차이로 이기고 대통령이 된 인물로도 유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선확정이구요 사실입니다만... 헤이스는 단순한 1표차이가 아닙니다

      헤이스의 경우 당시 19개 선거단에서 재검사를 몇십번 했는데 할때마다 숫자가 달라져서

      그냥 상원위원에 공화당이 많으니까 (민주당19:공화당47) 선거인19명을 전부 헤이스가 가져가서

      헤이스 185명, 상대 184명(선거인단 수랑 표수는 따로 있기 때문에 명이라고 표시해야 옳습니다

      미국에선 표수 적어도 선거인만 많으면 당선되기 때문이죠)

      로 공화당 후보인 헤이스가 당선되었습니다.

      단순한 표차이가 생긴게 아니라 당시 공화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했기 때문에

      자기들 유리한식으로 애매한 투표결과를 해석 할 수 있었던 거고

      당연히 불만이 많았기 대문에 헤이스는 민주당 우대정책과 차기대선 불출마 선언 등을 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2008년 강원도 고성 군수가 1표 차이로 정해진적이 있습니다

      1표차이는 생각보다 흔한 일이에요

      그게 다수결의 원칙이니까요. 물론 소수의견 존중도 중요하긴 한데

      1표 차이 어떻게 하겠다고 중요인물 뽑는걸 몇년씩 미루는게 더 나쁜거 아닐까요?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단 1표 때문에 재선거 하면 많은 기간과 재정 비용이 소비되서 혼란이 생길수 있기 때문입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