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생물들도 지구 산소공급에 영향을 주나요
보통 우리가 지구 산소공급을 위해서는 아마존 밀림 같은 나무들을 생각을 많이 하는데요 해양 생물 같은 경우도 지구 산소공급의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지구에 산소를 대량으로공급했던 고대생물이 바로 해양생물 중 남세균입니다.
이 남세균은 바다위에떠서 이산화탄소를먹고 광합성을하여 산소를 뱉어냅니다.
현재는 남세균뿐아니라 미역과 다시마같은 조류의 형태로 산소를 공급하기도합니다.
이외에도 산호초와같은 해양동물들도 이산화탄소를 가둬두는 역할을합니다.
네, 해양 생물, 특히 식물성 플랑크톤은 지구 산소 공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마존 열대우림을 지구의 허파라고 부르지만, 사실 바다가 생산하는 산소의 양은 아마존 열대우림이 생산하는 산소량의 2배를 훨씬 넘습니다.
바다에 사는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은 햇빛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광합성 과정을 통해 대기 중 산소의 상당 부분을 생산하는 것이죠. 해조류 또한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내며, 특히 연안 지역에서 중요한 산소 공급원 역할을 합니다.
결론적으로, 해양 생물, 특히 식물성 플랑크톤은 지구 산소 공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해양생물 중 조류는 광합성을 하기때문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반응을합니다.
조류는 흔히 우리가먹는 김이나 다시마, 미역등이 이에 해당되기도합니다.
또는 남세균이라고부르는 고대미생물역시 바다에사는데 이친구도 산소를 생산합니다.
감사합니다.
해양 생물, 특히 미세조류와 식물성 플랑크톤은 지구 산소 공급에 매우 큰 영향을 줍니다. 이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산소의 약 50퍼센트를 생산하며, 이는 아마존 같은 육상 식물과 거의 비슷한 수준입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바다 표면에서 햇빛을 이용해 광합성을 수행하며, 해양 생태계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 산소 순환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