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드레이크의 방정식의 구체적인 계산식은 무엇인가요?

드레이크의 방정식이란게 교신이 가능한 외계생명체의 수를 계산하는 식이라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값들을 곱해서 계산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드레이크 방정식은 교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를 추정하기 위한 방정식으로서 1961년 프랭크 드레이크가 제안하였습니다. 이는 우리가 교신할수 있을가능성이 있는 외계 문명의수= 우리 은하에서 매년 형성되는 항성의 평균 속도 (항성 형성률)(은하에서 매년 새로운 별이 형성되는 비율을 나타내며, 이 값은 과학자들이 관측을 통해 어느 정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 곱하기 항성 중 행성을 가진 항성의 비율 (행성이 있는 별의 비율)(항성 중 행성을 가진 비율을 나타냅니다. 현대 천문학의 발견에 따르면 대부분의 항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곱하기 항성 시스템에서 생명이 살 수 있는 행성의 평균 수(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인 생명가능지대 여부) 곱하기 생명체가 실제로 존재하는 행성의 비율 (생명체 발생률)(생명이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춘 행성 중 실제로 생명이 발생할 확률입니다. 이는 아직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지만, 지구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 추정입니다.) 곱하기 생명체가 지적 생명체로 진화할 확률 (지적 생명체 발전 확률)(생명이 발생한 행성 중 지적 생명체로 진화할 확률을 나타냅니다. 이는 진화 과정에서 생명체가 지능을 갖추고 복잡한 문명을 발전시킬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곱하기 지적 생명체가 교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확률 (교신 가능 문명 비율)(지적 생명체가 교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유지할 확률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거나 우주를 탐사할 능력을 갖춘 문명의 비율입니다.) 곱하기 문명이 교신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는 시간 (문명의 지속 시간)(문명이 교신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는 기간입니다. 문명이 멸망하거나, 기술이 사라지거나, 교신을 포기하는 경우 이 기간이 종료될 수 있습니다.) 로 구하게 됩니다~ 드레이크 방정식은 외계 면뭉의 존재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추정하려는 첫시도였으며 현재까지도 외계 생명체에 대해 논의하는 중요한 역할로서 자리잡혀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