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1

비온뒤 어떤현상으로 무지개가 생기는건가요?

비가 온뒤 이쁜 무지개가 생성되었는데 이 무지개는 어떤현상으로 인해 무지개가 생기는건가요?

무지개가 생기는 현상에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23.08.11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대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굴절, 반사,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현상입니다.

    즉, 비가 온 뒤 공기 중 물방울이 커다란 프리즘의 역할을 하며 햇빛을 굴절시켜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태양빛이 비의 물방울에 닿아 굴절, 반사, 굴절, 산란 등 다양한 광학 현상이 겹치는 결과로서 형성되는 자연적인 현상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무지개가 생기게 됩니다:

    1. 굴절(Refraction): 태양빛은 비의 물방울에 닿게 됩니다. 물방울의 표면을 통과할 때 빛은 다양한 색상으로 굴절되어 물방울 내부로 들어가게 됩니다.

    2. 내부 반사(Internal Reflection): 굴절된 빛은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됩니다. 이 반사는 물방울 내부에서 빛이 물방울의 벽과 만날 때 발생하며, 반사 각도와 굴절 각도가 일치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3. 굴절(Refraction) 다시: 반사된 빛은 다시 물방울을 떠나게 됩니다. 이 때 빛은 다시 물방울의 표면에서 굴절되어 바깥쪽으로 나가게 됩니다.

    4. 산란(Dispersion): 반사와 굴절 과정을 통해 물방울 내에서 각각의 색깔로 분산되어 나가는 빛이 발생합니다. 이는 빛의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물방울에서 여러 색상의 빛이 분리되어 나오게 되는데, 이때 각 색깔의 빛이 무지개의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납니다.

    5. 빛의 합성(Mixing): 빛이 분산되어 무지개로 나오면, 다양한 색상의 빛이 함께 보여지게 됩니다. 이 때 빛의 합성에 의해 무지개가 생성되며,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의 색상이 보이게 됩니다.

    무지개의 형성은 바람이 매우 약한 비가 내리는 조건에서 가장 잘 나타나며, 태양이 빛을 비에 비교적 낮은 각도로 비추는 경우에 자주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는 동안, 빛은 빗방울을 통과하여 굴절됩니다. 굴절은 빛이 다른 물질로 들어갈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때 빛은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으로 이루어진 스펙트럼으로 분해됩니다.

    비가 그치면, 빛은 여전히 분해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빛은 우리의 시야 밖으로 빠져나가거나 흩어집니다. 그러나 일부 빛은 다시 반사되거나 굴절되어 우리 시야에 닿게 됩니다. 이때, 빛은 다시 굴절되면서 무지개를 만들어냅니다.

    무지개는 붉은색에서부터 보라색까지의 스펙트럼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일곱 가지 색상으로 나뉘어집니다. 이는 빗방울에서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빨간색 빛의 파장이 가장 길고, 보라색 빛의 파장이 가장 짧기 때문에, 이러한 색상들이 무지개에서 보이는 위치가 서로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빛이 물방울에서 굴절, 반사, 분산되어 나타나는 자연의 현상입니다. 빛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빗방울에 들어온 빛은 굴절되어 7가지 색으로 분리됩니다. 이 분리된 빛이 다시 반사되어 우리 눈으로 들어오면 무지개가 나타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