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애덤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유래한 보이지않는 손은 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애덤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유래한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경재 용어가 있잖아요~ 근데 무슨손이 왜 보이지 않는다고 하느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 사실상 눈에 보이는 '손'이 아니라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수요-공급에 근거해서 가격을 조절하는 손(경제에서의 손)이기 때문에 이를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명명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가격이 결정될 때 사람들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 때 수요와 공급은

      개인의 욕망이 포함된 것이기에 실제 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 이 욕망이 서로 일치하는 지점에서 균형가격이 형성되고 이는 보이지않는 손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해주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유래한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내용입니다.

    손은 무엇을 할 때에 필수로 필요한 우리의 신체 일부입니다.

    그런데 이런 손을 비유로 사용해서

    가격의 자원 배분 기능을 표현한 것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이 이런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것은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시장경제의 원리와 경쟁, 개인의 욕구, 이기심 등이 모여 적절한 금액, 적절한 거래량을 이루게 됩니다. 이를통해 개인과 사회적 이익 모두 달성됩니다. 여러 경제 주체들의 행동과 그 결과가 마치 보이지않는 손에 이끌려 조절되는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 아담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주장한 경제운영정책은 완전자유경쟁체제를 의미합니다.

    각각의 경제주체들이 각자의 이익을 위해 자유롭게 경제활동을 하도록 정부에서는 일체 간섭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즉 정부에서 간섭하지 않아도 경제주체들이 각자의 이익을 위해 가장 효율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니 (수요 공급의 법칙에 의해 가격 결정),

    정부는 걱정하지 말라는 의미로, "보이지 않는 손이 움직여 작동하고 있다"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대략의 내용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것은 모든 사람이 개인의 이득를 위해서만 움직일때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적절한 가격이 책정되어 안정적으로 시장이 돌아감을 이야기합니다.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유도하는 가격이라는건 상기 기술한 과정을 바탕으로 성립된 적절한 가격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즉, 시장경제의 암묵적인 자율작동 원리를 이야기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의 움직임을 말합니다.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이루는 시장기능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사람들이 자기 이익을 위해 행동할 때 보이지 않는 손이 이끌듯이 경제가 더 잘 돌아간다는 뜻입니다. 이 손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손이라 보이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자유롭게 경제 활동을 발전시키는 과정을 설명한 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시장 경제에서의 자율적인 경제 활동이 사회적으로 유익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주장을 나타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개인의 자율성과 시장의 자율성이 경제 발전과 사회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보수당 쪽에서 주로 주장하는 부분이고 낙수이론 처럼 맨 위의 잔에 술을 따르면 저 밑에 저소득층까지 알아서 효과가 간다는 말이죠 , "알아서,"

  •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하는 것은 실제로 가격의 변동에 작용을 하고 영향을 미치고는 있지만 국가가 인위적으로 개입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했었던 것이에요

  • 애덤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자유경제 시장에서 개인이 사익을 추구하는 것이 사회 전체의 이익으로 이어진다는 개념입니다. 개인의 사익추구가 경제를 균형있게 성장시킨다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 손은 개인의 사익추구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