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어쩌면딱딱한해물탕
어쩌면딱딱한해물탕

곧 성인이 되는 고3입니다. 자산관리에 대하여 질문하고 싶습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10대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미혼
희망 상담 분야
부동산 설계

곧 성인이 되는 고3 학생입니다.

현재 제 앞으로 조금 주식을 갖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주식을 조금 하고 싶습니다. 주로 안정성이 높은 ETF에 투자하는 편입니다.

1. 곧 알바를 시작할텐데 급여를 받고나서 주식과 적금 몇대몇 비율로 저축하는 게 나을까요?

2. 적금을 든다면 사회초년생한테 어떤 상품이 괜찮나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 알바를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적금 비중을 조금 더 높여 7대 3이나 6대 4 정도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입의 60~70%는 적금으로 꾸준히 모아 비상금과 종잣돈을 만들고, 나머지 30~40%를 안정성이 높은 ETF 투자에 활용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갑작스러운 지출에도 흔들리지 않고 재정 기반을 탄탄히 다지면서, ETF를 통해 시장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쌓을 수 있죠.

    2. 사회초년생 추천 적금: 성인이 되면 가입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있는데,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 덕분에 목돈 마련에 아주 유리합니다. 또한, 'ISA 계좌'도 세제 혜택과 다양한 투자 옵션을 제공하여 장기적인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고3 학생의 자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매우 어리신 편이기 때문에 안정성을 따기지 보다는

    수익성을 따져서 공격적으로 투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회 초년생이고 수입이 있다면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밀어주는

    청년 관련 적금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득 변동이 크면 기본은 적금 60~70, 투자 30~40 비율로 시작이 무난합니다. 사회초년생은 우대금리 적금, 청년도약계좌, 입출금 자유형 적립 예금이 유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질문자님 나이대에서 주식과 적금의 비율은 20%정도면 충분하고 나머지는 본인 능력향상에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0%에서는 주식 80%, 적금 20%로 가져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대기업위주 안전 주식에 넣어놓는다면 결국 적금보다 훨씬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20%는 혹 유동성이 필요할 때가 생기는 비상용으로 가지고 계시는 것이죠.

    일반 직장인이 아니시라면 적금도 사실 50만원도 많은 것입니다.

    너무 무리하지 않으셔도 되고 습관정도만 길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적금과 예금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이는 이율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의 가치하락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라고 한다면 예적금보다는 주식이나 코인에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고 개별종목보다는 etf 등의 펀드에 투자를 하시는 것이 안전한 수익이나 손실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금보다는 etf에 대한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