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 당파싸움이 심하던 시절, 예송논쟁으로 대립한 이유는 뭔가?
조선시대
당파 싸움이 활발하던 시절
특히 예송 논쟁 이라는 부분이
서인과 남인의 대립을 잘 보여주는 사건이라 하는데요.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은
상복을 얼마나 입어야 한다 라는 부분으로 대립한걸로 압니다.
사실 상복이야 왕이 얼마나 입어라 하면 그만인 듯 보여지나
그 시절 효종이 승하하고
계모가 상복을 입는 기간가지고
서인과 남인이 서로 얼마동안 입어야 한다고 싸웠다고 하는데
상복을 얼마동안 입는 문제가
내적으로는 어떤 면을 가지고 있길레
그 부분가지고 서인과 남인이 서로 싸우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조선은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하며 유교 질서를 매우 중요시하였습니다. 현종 때 일어난 예송논쟁도 성리학의 해석을 놓고 붕당간의 일어난 사건입니다. 우선 효종이 사망하고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가 얼마나 오랫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 것을 놓고 벌인 기해예송(1659)에서는 서인의 기년설이 남인의 3년설의 주장과 대결에서 선택되었습니다. 그러나 효조비가 사망하고 자의대비의 상복 문제를 놓고 벌인 갑인예송(1674)에서는 남인의 기년설이 서인의 대공설의 논쟁에서 승리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상복 문제만이 아니라 인조의 차남인 효종의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놓고 벌인 논쟁이기도 합니다. 이는 곧 국가 체제에 대한 해석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디고 합니다. 이를 둘러싼 남인과 서인의 붕당 대립의 형국으로 전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