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2.02

시간을 초월한 이동이 이론적으로 가능한건가요?

흔히들 우주의 거리는 상상을 초월할수 없을정도로 넓고 멀어서 시공간을 초월하는 이동이 있어야만 이동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정말로 이런 이동이 이론상으로 가능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성이론은 현재로는 이론 상으로는 미래에 대한 시간 여행을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아직까지는 기술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단순히 이론일 뿐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을 초월한 이동, 즉 시공간을 넘나드는 이동은 현재로서는 이론적으로만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간과 공간을 하나의 연속체로 보며, 이를 '시공간'이라고 부릅니다. 이론적으로는 이 시공간을 왜곡시키거나 뒤틀어서 '웜홀'이라는 통로를 만들어, 시간을 건너뛰거나 빠르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아직까지 실험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으며, 실제로 웜홀을 생성하거나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나 기술,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예를 들어, 웜홀이 불안정하거나, 웜홀 통과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강한 중력에 의한 영향 등)에 대한 해결책도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더불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시간여행'에 대해서는 물리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일부는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이들은 시간의 일방향성, 즉 '시간의 화살'이라는 개념을 들어 시간여행의 불가능성을 주장하기도 합니다.

    결국, 시간을 초월한 이동은 현재로서는 과학 이론의 범위를 넘어선, 과학 판타지의 영역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래의 과학 기술 발전을 통해 이런 가능성이 현실화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 누구도 확실히 말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속도가 빨라질수록 시간은 느려지고, 거리가 짧아지고 질량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시간이 상대적인 개념이며, 이동하는 물체의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달라질 수 있음을 뜻하죠.

    또한,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이 혼합되어 시공간 상에서 관찰자를 포함한 모든 물체의 움직임은 하나의 곡선, 즉 세계선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시간과 공간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간이 느려집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시간 여행의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현재로서는 그것이 실제로 가능한지 여부는 논란이 있습니다.

    특히 물리학적인 기본 법칙을 벗어나는 과거로의 시간여행은 불가능하며, 미래로의 시간여행은 논란이 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거리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넓고 멀기 때문에

    현재 기술로는 도달하기 어렵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시공간을

    초월하는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는

    주장들이 존재합니다.

    시공간 초월 이동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이론들이 있습니다.

    웜홀은 시공간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일종의 통로입니다.

    웜홀이 존재한다면 웜홀을 통해 두 지점

    사이를 순식간에 이동할 수 있습니다.

    웜홀의 존재 여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고 웜홀을 통한 이동이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한

    확실한 근거는 없습니다.

    워프 드라이브는 우주선 주변의

    시공간을 휘어서 우주선이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의

    추진 시스템입니다.

    워프 드라이브는 아직까지 이론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시간 여행은 과거나 미래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간 여행이 가능하다면

    과거의 사건을 바꾸거나 미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시간 여행은 아직까지 이론적으로만

    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한 확실한

    근거는 없습니다.

    시공간을 초월하는 이동을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현재 기술로는 그러한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시공간을 초월하는 이동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

    법칙에 어긋나는 일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시간을 초월한 이동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최대 속도로서 이를 초월하는 이동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거리는 indeed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넓고 멀어서 시공간을 초월하는 이동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이 이론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과 이론이 존재합니다.

    우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을 초월하는 이동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론상으로는 물리 법칙을 어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론상으로는 가능하지 않더라도 실제로는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랙홀의 경우에는 시공간을 왜곡시켜서 이동이 가능하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그리고 양자역학에서는 시간을 초월하는 이동이 가능하다는 이론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만 가능하고 현실적으로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여행은 일반적인 시간의 흐름에서 벗어나 과거 혹은 미래로 가는 행위를 말한다. 다만 이것이 관측을 말하지는 않는다. 관측과 상호작용은 물리학에서 엄연히 다른 것으로 양자역학에 해당하는 미시적인 수준으로 내려가야 동일해진다.[1] 우리는 우주적 규모에서 과거의 사건을 얼마든지 관측하고 있다. 또한 미래로의 여행은 1초에 1초라는 속도로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므로,[2] 이것을 배제하고 계와 그 외부의 시간 흐름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에 한정한다.

    2. 가능성[편집]


    물리학에서, 미래로 가는 시간여행은 실제로 가능하다. 본인이 과거로 돌아가는 시간여행을 하는 경우는 몇몇 학자들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대부분 현재 물리학에서 아직까지 입증되지 않은 조건들을 필요로 해서, '가능하다. 아니다'라고 말할 단계는 아니다.

    2.1. 미래로의 시간여행[편집]


    미래로 가는 것은 물리적으로 가능하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자신이 직접 빛의 속도와 가깝게 여행해서 상대성 이론에 따른 시간 지연을 일으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같은 강한 중력을 가진 천체 주변에서 일어나는 시공간 왜곡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인터스텔라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쉬운데, 강한 중력장 내에서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것을 이용하여 블랙홀 주변에 있다가 다시 밖으로 빠져나왔을 때 자신의 시점에서는 몇 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이미 자신을 제외한 세계는 몇 십 년이 지나가 있는 식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우주인 A가 탄 로켓이 빛의 속도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로켓 내에서의 시간은 느리게 간다. 하지만 로켓을 관찰하는 정지한 관찰자 B에게는 시간 지연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원래대로 시간이 흐른다. 만약 시간 지연에 따라 시간이 2배 만큼 느리게 흐른다는 것은 A의 시간이 1초 흘렀다고 가정했을 때 B의 시간은 2초 흐른 것이다. 즉 A는 1초 후의 미래로 이동했다. 다만 이것은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라 서로에게 그렇게 느껴지기 때문에 완전한 의미의 시간여행이 아니며,[3] 시간이 흐르는 방향을 바꿀 수는 없다. 즉 A는 B의 지연된 미래를 볼 뿐, 과거를 볼 수는 없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술개발로 인류가 여행할 수 있는 영역은 점점 넓어 지지만 시간여행은 아직 힘듭니다. 과거로 가는 시간여행은 이론적 근거가 희박하고 웜홀이나 시공간이 왜곡되면 시간여행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구현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론상으로는 시공간을 초월하기 위해서는 빛의 속도를 뛰어넘는 속도가 발생되어야 시간의 변질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인류의 기술로는 빛의 속도를 뛰어넘는 기술이 없기에 불가능한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