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한알쌍7214
한알쌍7214

남극에서 밤없이 낮시간이 길어진것 사실인가요?

텔레비전 시청 중에 믿기가 어려울 정도

남극에서 밤 시간보다 낮시간이 많이 길어진 것이 사실인가요?

우리나라처럼 남극에서 그렇지 않네요.. 밤 시간이 부족하면 수면도 부족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남극)의 낮과 밤은 다른 대륙처럼 해가 뜨면 밝아지고 해가 지면 어두워지는 낮과 밤이 아닙니다. 밤이 낮처럼 밝은 현상이 6개월 정도 계속될 때도 있고, 6개월간 캄캄한 밤이 계속될 때도 있습니다. 이처럼 낮이 계속 될 때를 ‘백야’, 밤이 계속 될 때를 ‘극야’라고 합니다.

    ■ 하루종일 낮 - 백야

    백야는 북위 약 66.5° 이상의 북반구 지역과 남위 약 66.5° 이하의 남반구 지역에서 한여름에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반구에서는 6월 21일(하지) 무렵, 남반구에서는 12월 22일(동지) 무렵에 백야 현상이 일어나며 가장 긴 곳에서는 6개월간 지속됩니다. 백야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일부, 러시아 일부, 미국 알래스카(앵커리지), 캐나다, 남미 칠레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러시아에서는 백야를 ‘하얀 밤(White Night)’, 스웨덴 등 다른 지방에서는 이를 ‘한밤의 태양(Midnight Sun)’으로 부릅니다.

    ■ 하루종일 밤 - 극야

    극야는 고위도 지역이나 극점 지역에서 겨울철에 오랫동안 해가 뜨지 않고 밤만 계속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북반구 고위도 지역에서는 12월 22일(동지)을 중심으로, 남반구 지역에서는 6월 21일(하지)을 중심으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데 극야 동안에는 냉각이 진행되어 저온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처럼 남반구와 북반구의 계절은 반대이기 때문에 북반구에서 백야가 일어나면 남반구에서는 극야가 일어나고, 남반구에서 백야가 일어나면 북반구에서는 극야가 일어나게 됩니다. 낮이나 밤이 계속되는 기간은 북쪽으로 갈수록 길어지는데, 66.5°보다 위도가 높은 고위도 지역에서는 이러한 백야와 극야 현상으로 인해 하루 24시간 모두가 낮이거나 밤인 날이 생겨나게 되며 고위도로 갈수록 그런 현상은 심해져, 북극에서는 여름에는 낮이, 겨울에는 밤이 6개월간 지속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런 백야와 극야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 백야와 극야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나타나게 됩니다. 핀란드는 북극에 가깝기 때문에 여름이면 태양 쪽으로 기울고 겨울이면 태양의 반대쪽으로 기울어 낮이 이어지거나 밤이 이어지는 날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 : 하루종일 낮이라면 어떻게 살지? - 대한민국 공육부 블로그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은 지구의 축 기울기로 인해 겨울철인 6월말부터 해가 떠오르지 않게 되면서 밤시간이 길어집니다. 이후 12월에는 해가 뜨고 나서부터는 밤시간이 짧아지면서 낮시간이 길어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가 자전하면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며, 남극에서의 낮시간이 길어지는 이유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은 지구의 축 기울기로 인해, 북극과 마찬가지로 1년 중에 한창 한쪽이 지금보다 많이 밝고, 다른 한쪽은 그 만큼 어두울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극야(極夜)와 극명(極明)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남극에서는 일부 지역에서는 밤 시간보다 낮 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남극의 지리적 조건 때문인데요, 남극은 북극과 달리 대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남극의 특정 지역에서는 해가 지고 나서도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으로 인해 일정 기간 동안은 밝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남극에서는 극야와 극명이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극야는 6월 초부터 7월 말까지 약 4개월간, 극명은 12월 초부터 1월 말까지 약 2개월간 지속됩니다. 따라서, "남극에서 밤 시간보다 낮시간이 많이 길어진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남극에서는 여름철인 11월 중순부터 24시간 낮이 지속됩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과 극축의 기울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북극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역사적으로 극지방 탐험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밤이 되어도 태양이 지지 않는다고 하여 백야(白夜)라고 부릅니다.




    이정도는 아시죠?




    북극지방에서는 여름에, 남극지방에서는 겨울에 나타나는데요,




    이 백야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고위도 지방 (48°N)에서 한여름에 태양이 지평선(18°N) 아래




    로 내려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밤이 계속되는 겨울과 낮이 계속되는 여름이 거의 반년씩 교대로 나타나게 되죠



    이런현상은 러시아에서 대부분 생기는데 눈이부셔 눈에 이상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에서는 겨울철에는 밤이 없이 낮이 길어집니다. 이것은 지구의 기울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공전하는 동안 자전하면서 자전축이 경도면과 기울어지기 때문에, 지구의 어떤 지점에서는 여름철에는 밤이 짧고 낮이 길어지고, 겨울철에는 낮이 짧고 밤이 길어집니다. 이러한 현상을 계절적 경도별 변화라고 합니다.

    남극은 지구의 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구의 자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밤이 없이 낮이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남극에서 약 6개월간 지속되며, 이 기간 동안 남극에서는 지속적으로 태양이 뜨고 있어서, 밤이 없이 낮이 지속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지지 않아 어두워 지지 않는 현상을 백야현상이라 합니다.

    백야현상은 북극 지방에서는 하지 무렵에, 남극 지방에서는 동지 무렵에 일어나며, 최대 6개월이나 계속됩니다. 반대로 극지방에서는 겨울철에 오랫동안 해가 뜨지 않고 밤만 계속되는 현상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극야 현상이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네, 남극에서는 일년 중 대부분의 지역에서 밤이 없이 낮만 지속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의 기울기와 지구 공전 궤도의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동시에 공전하는데, 지구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공전 궤도상에서 태양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일년 중 어느 한 시점에는 남극의 대부분 지역에서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계속해서 떠 있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남극에서는 일년 중 특히 12월부터 2월까지는 낮이 지속되는 시간이 가장 길게 지속됩니다. 이 기간에는 남극에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24시간 동안 태양이 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6월부터 8월까지는 밤이 지속되는 시간이 가장 길게 지속되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태양이 지평선 위로 올라오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준에서는 신기한 현상입니다. ^^ 남극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겨울철에는 저녁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까지 밤이 없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현상을 극야라고 합니다. 이와 반대로 여름철에는 일부 지역에서 밤이 없는 극일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유는 지구의 회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기울어져 공전을 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북극에서도 같은 현상이 생깁니다.

    물론 북극이 낮이 지속되면 남극은 밤이 지속되는 식으로 반대로 나타나죠.

  •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것과 우리나라와 남극의 지구상의 위치를 고려하시면 충분히 이해되실 겁니다. 간단히 비유하자면 공을 같은 힘으로 위로 높이 던졌을 때와 완만하게 던졌을 때 완만하게 던진 것이 더 먼 거리를 이동하겠죠? 이 때 이동한 거리를 낮의 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상의 극지방은 태양이 완만하게 떠있고 오래 있기 때문에 낮길이가 길어진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 주소에 계절에 따른 밤낮의 길이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으니 한 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사계절의 원인은? 그리고 하지와 동지, 춘분과 추분의 원인은 무엇일까?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