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2배, 3배 레버리지 상품은 추종하는 상품이 횡보하면 왜 안좋은거죠?
개인적으로 미국 장기 채권 3배 레버리지 상품인 TMF를 적립식으로 모으고 있습니다.
그런데 2배, 3배 레버리지 상품의 경우 추종하는 상품이 횡보해도 가격이 하락한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맞는건가요?
횡보를 하는데 왜 하락하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의 2배, 3배 레버리지 추종 상품이 횡보하면 안좋은 이유입니다.
2배나 3배 레버리지를 장기투자하게 되면 상품의 구조상 장기 투자에 취약한 구조이기에
횡보를 하게 되면 이런 구조적 위험에 직면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3배 레버리지를 많이 하고있는데 진짜 심합니다.
나스닥과 반도체 1배는 신고가이지만 제가 가지고있는 3배짜리들은 아직 제원금회복도 멀었습니다.
침식효과라고도 하는데, 직접 계산을 해보세요
-30% 되었다가 +30%하는것과
-90% 되었다가 +90%하는것의 차이가 엄청납니다.
위와 같은 레버리지 상품과 같은 경우 수수료도 비싸고 더불어서 1만원으로 매수하셨을 떄 시장이 1%가 오른다면 10300원이되나 여기에서 시장이 1%가 떨어지면 -3%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309원이 떨어지게 되어 9993원이 되기에 음의복리효과가 적용되기에 하락하기에 횡보하면 불리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 레버리지 특성상 오른 것보다 더 올라야 원금 회복이 되는데, 시장이 횡보를 해도 결국 올랐다 떨어졌다는 반복하게 되므로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필연적으로 레버리지 상품은 손실이 날 가능성이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다면, 1배 지수가 10% 상승한 이후 10% 하락한다고 하면 기준가인 100달러를 기준으로 110달러가 되고 이후 99달러가 됩니다.
3배 지수는 30%오르고 30% 하락하게 되므로,
100달러를 기준으로 130달러가 된 이후, 91달러가 되는 것처럼 횡보하게 되면 1배 추종 상품과 더욱 괴리감이 커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