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는 몇번째 변의가 생겼나요?
코로나는 몇번의 변의를 거쳤나요?
백신을 맞아도 코로나 걸리는 사람이 있는거보면
몇번의 변의를 거친듯 한데 슈퍼바이러스 처럼 되진 않겠죠?
안녕하세요. 김학진 약사입니다.
현재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는 1)알파, 2)베타, 3)감마, 4)델타, 5)입실론, 6)에타, 7)이오타, 8)카파, 9)뮤, 10)제타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가 가장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슈퍼바이러스의 출현확률은 낮으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백신접종, 마스크 착용, 손 소독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바이러스 자체의 생존을 위해서 돌연변이를 일으킵니다. 현재 유행중인 변이는 인도발 델타형이고 최근 람다, 뮤 변이까지 알려져 있습니다. 백신의 효과가 점차 떨어질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무조건 전염력이 강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경우에는 치명률이 강해져서 사망률이 올라갈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변이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 외막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바뀐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까지 발표된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이종은 수십 개입니다. 영국발 변이는 알파, 남아공발 변이는 베타, 브라질발 변이는 감마, 인도발 변이는 델타, 페루발 변이는 람다로 불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또다른 변이가 출현할 가능성도 많습니다.
변이가 지속되면 기존 백신에 효과가 없는 바이러스가 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그것은 알 수 없습니다.
돌연변이는 자연적으로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이기 때문에
나중에는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가장 큰 싸움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슈퍼바이러스처럼 될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현재 알려진 변이는 알파/베타/감마/델타/람마/뮤 정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변이가 더 있으나 대표적인 변이는 다음과 같으며, 이중 문제되는 것은 델타 변이입니다.
델타변이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균의 경우 변이를 거치다보면 슈퍼박테리아가 생길 수 있으나,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크게 치명적이지 않기 때문에 슈퍼바이러스가 생길 가능성은 낮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바이러스 같은 경우에는 숙주세포에 들어가 복제를 통해 증식을 하게 됩니다.
이 복제과정에서 동일하게 복제되는게 아닌 조금씩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게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이형은 알파, 베타, 감마, 델타로 총 4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델타변이가 가장 전염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코로나는 기본적으로 계속하여 변이를 거칩니다.
다만, 그 중에서도 어느 정도 생존성이 있는 바이러스만 살아남는 것입니다.
또한 너무 치사율이 높으면 애초에 숙주가 다 죽게 되어 전파가 잘 안됩니다.
적당한 치사율에 높은 전파력을 가진 바이러스만 살아남게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