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에 전선을 꼽은 후 전기를 흐르게 하니깐 전기가 흐르던데 그 원리가 뭔가요??
유투브에서 영상을 봤는데요. 신기한 것들이 나오는데 그중에 제일 신기한게 과일에 전선을 꼽은 후 전기를 흐르게 하니깐 전기가 흐르던데 그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
과일에서 전기가 흐른다는 게 정말 신기하게 느껴지요? 과일 안의 액체(즙)속에는 산과 이온(전하를 띤 입자)이 들어 있어서 전기가 통할 수 있습니다.
과일 속의 산(예 : 구연산, 사과산)은 전해질 역할을 합니다.
금속 전선이나 동전, 못 등을 과일에 꽂으면 금속 간에 전자가 이동 할 수 있는 통로가 생깁니다.
이때 과일의 즙이 이온이 움직이는 통로(전해질)로 작용하면서 약한 전류가 흐릅니다.
정리해 보면, 과일은 스스로 전기를 만들지 않지만,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해질 용액"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선으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는 것처럼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과일에는 대부분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데요.
이 수분이 전해질로서의 기능을 하여 전자의 이동이 가능케하여 과일에 꼽은 전선에 전기가 흐르는거죠.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과일 안에는 산성 성분과 전해질이 있어 금속 전극 두개를 꽂으면 간단한 전지처럼 화학 반응을 통해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만들어 집니다 이때 과일은 전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금속 사이에서 일어나는 산화 환원 반응을 도와 주는 전해질 역할을 하며 이때 발생하는 전압은 매우 낮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과일이 스스로 전기를 만드는게 아니고 과일 속의 산과 금속 전극이 만나서 전기화학반응을 일으켜서 그렇습니다. 과일 자ㅔ는 도체가 아니라서 흐르지 않습니다 다만 산성 용액속에 이온이 많으면 이온의 이동으로 전류가 흐를수 있어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과일에 전선을 꼽고 전기가 흐르면 과일 안에 액체들에 이온화 된 성분들이 있어서 그 이온화된 성분들이 전자와 산화 환원반응하면서 전자가 이동되면서 전기가 흐르게 되는 원리입니다. 단순히 과일에 연결되어서 전기가 흐르는것이 아니라 과일안에 있는 액체들에 의해서 이동되는데 이런 것들은 대부분 산성이 있는 과일들이 더 잘 전기가 흐르게 됩니다.
2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