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

한참뒤의 미래인류는 여자도 대머리가 될 가능성이 클까요?

종종 영화나 소설에서도 미래인류 혹은 진화된 외계인을 민머리로 묘사라는 경우가 많은데

인간도 계속된 진화가 이루어진다면 결국엔 여자도 민머리가 될 가능성이 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성들은 사춘기가 지나면 체내에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증가하게 됩니다. 테스토스테론은 모낭에서 5-알파 환원효소에 의해 DHT (dihydrotestosterone)라는 호르몬 물질로 변화되고 이 호르몬이 탈모를 일으키게 됩니다. 하지만 여성은 남성에 비해 탈모를 겪는 일이 적은데, 여성은 남성에 비해 DHT가 1/6에 불과하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모발의 탈모진행을 방지 및 모발을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진화는 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특성이 다음 세대에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만약 미래에 무모(민머리)가 어떤 생존적 이점이나 환경적 적응을 제공한다면, 그러한 특성이 인류에 널리 퍼질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무모가 생존에 필수적인 이점을 제공한다는 증거는 부족합니다. 영화나 소설에서 미래 인류를 민머리로 묘사하는 것은 주로 시각적, 상징적 이유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이러한 묘사가 반드시 과학적 예측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로서는 여성이 대머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습니다.

  • 미래에 여성이 대머리가 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진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성도 대머리가 될 가능성은 있지만 그 가능성이 크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영화나 소설에서 묘사되는 대머리 인류는 상징적, 미학적 표현일 뿐, 실제 진화 경로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대부분의 여성이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고, 머리카락은 보호와 체온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머리가 되는 것이 진화적으로 유리한 변화인지는 논란이 될 수 있습니다. 미래에 대머리가 되는 여성이 늘어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유전자 돌연변이 및 진화로 인해 충분히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대머리 뿐만 아니라 그 어떤 변화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미래의 진화에 대한 예측은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주제이지만, 현재로서는 여자가 민머리를 갖게 될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 머리카락의 형태는 유전적이며, 인간의 머리카락은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화는 환경 변화와 생존에 대한 적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현재로서는 민머리가 여성에게 생존에 유리한 특성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사실 머리카락을 진화를 거듭해서 탈락시켜야 할 이유가 굳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머리카락은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할 뿐 아니라 각종 유해물질을 방어해주기도하며,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재역할을 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점점 자외선이 강해지고 햇볕이 뜨거워지고 있는 지금 이러한 기능을 가진 머리카락이 퇴화되어 사라지는 현상이 굳이 일어날 이유가 없습니다.

    심지어 최근 전세계적으로 미세먼지가 많아지고 각종 이물질들이 공기중에 떠다니고 있어 신생아들의 콧속털이나 눈썹의 길이를 매년 측정해보면 점점 길어지고 있는것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즉, 공기 질 측면에서도 체모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남성호르몬이 적은 여성에게서는 이러한 증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별히 환경이 급격히 변하여 피부 재질자체가 바뀌거나 모공의 형태가 사라지면서 두꺼운 피부가 만들어지고

    머리카락이 아니더라도 이런것들이 보호를 해 줄 수 있는 수단으로 바뀐다면 머리카락이 사라질수는 있겠습니다.

    실제로 과거 유인원시절부터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옷이나 의복의 발달, 집과같은 보호수단이 많아지면서 인류 전체의 체모가 감소해왔던것은 사실입니다.

    앞으로 이런 영향들이 인체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야 미래를 예측할 수 있지만, 당장 가까운 미래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