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에 관한 사상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생윤 예습하고 있는 고등학생 입니다....
생윤 사상가를 공부하면서 든 생각인데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사상가중 사랑에 관한 사상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헤겔은 사랑을 철학의 원리로서 고찰해 본 그런 드문 철학자들에 속합니다. 사랑에 대한 그의 최초의 철학적인 정의는 이미 그가 베른으로 떠나기 전에 작성한 한 단편에서 나타나지요.이에 따르면 사랑은 타자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또는 망각하는 한에서의 인간의 이성에 친숙한 경험적 도덕 원리입니다. 인간은 본성상 감성과 이성으로 복합된 존재이기 때문에 청년 헤겔은 이 양자가 조화되는 도덕적 이상을 구상했지요.이렇게 정의된 사랑은 프랑크푸르트 시기엔 최초로 하나의 철학적 원리로서 전개된다. 즉 사랑은 자신의 분리된 민족에 대한 예수의 대결과 화해를 통해 범례화되는 합일의 활동성입니다. 인자로서의 예수의 사랑처럼 여기서 사랑은 인간이 분리의 세계 속에서 실현할 수 있는 합일의 초인간적인 활동성이죠.
그러나 사랑의 객관성 결핍과 과도한 주관성의 위험으로 인해 철학의 원리로서의 사랑은 포기되며, 예나 시기엔 그 대신에 헤겔이 기획한 철학 체계 내의 의식 내지 정신 철학적인 계기로서 설정됩니다.
『정신현상학』과 그 이후의 저서들에서 사랑은 더 이상 총체적 의식 또는 자기의식의 구성계기로 고찰되지 않으며 주로 가족, 가족소유, 아이 등 사랑이 객관화된 형태들만이 객관정신 부분에서 논의됩니다.절대정신 부분에서 언급되는 사랑은 그 자체로서 주제화된 것이라기보다 철학의 원리로서의 정신의 한 활동성으로서만 예시된 것입니다. 사랑의 이러한 체계적 위상 변화는 그 주관적 방식이 어떠하든지 간에, 참된 사랑이란 객관적인 형태로 인륜적으로 실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이라는 책을 쓴 에리히프롬을 들 수 있습니다. 프롬은 여기에서 사랑은 보호와 책임 존경과 이해의 4가지 요소라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