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산호초는 왜 바다 환경에 기준이 되었나요?

요즘이나 예전에 보면 산호초가 말라서 죽었다라고 이야기를 하면서

기후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던데요.

왜 산호초가 바다 환경에 기준이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산호초는 해양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입니다.

    다양한 해양 생물이 산호초에 의존해 살아가므로 건강 상태가 바다 전체의 상태를 반영합니다.

    산호는 온도, 산성도, 오염 등에 민감해 환경 변화에 쉽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산호초의 변화는 바다 환경의 이상 신호로

    해석됩니다. 이런 이유로 산호초는 바다 환경의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산호초가 생식하는 환경조건 때문입니다.

    산호초는 종따라 다르지만 20~30도의 조건에서만 서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온도가 벗어나게 되면 백화현상이라고 하여 천천히 하얗게 되면서 죽어가게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 해역의 수온이 변화했다는 것을 알수 있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온 뿐 아니라 수질이 악화되면 산호가 생존하질 못하기 때문에 산호초를 해수변화의 지표로 사용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해양생태계에서 산호초는 해수온도 상승과 오염에 민감하여 기후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색깔이 변하며 죽어가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어류나 무척추 동물의 번식 등을 할 수 있어 다양한 해양생물들의 서식처가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도를 완화시켜 해안의 심칙을 방지하고 해안생태계를 보호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산호초가 해양생태계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써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산호초 보호에 힘을 쓰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산호초는 온도와 산성도에 민감하여 영향을 가장먼저 나타내는 생물입니다.

    이로 인해 산호가 하얗게 변하는 백화현상을 보이면 바다 환경 변화의 위험 신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산호초는 해양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 세계 해양 면적의 1% 미만을 차지하지만, 전체 해양 생물의 약 25%가 산호초에 서식하며 살아갑니다. 이는 산호초가 엄청난 생물 다양성을 지탱하는 기반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산호는 수온, 염분, 빛, 해수 산성도 등 주변 환경 변화에 극도로 민감한 생물입니다. 특히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해수 산성화는 산호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수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산호는 조직 내에 공생하는 조류(Zooxanthellae)를 배출하는데, 이 조류가 산호에게 색깔과 영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조류가 사라지면 산호가 하얗게 변하는 '산호 백화 현상'이 발생합니다. 백화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산호는 결국 죽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