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떡뚜꺼삐
떡뚜꺼삐

마술사들이 하는 마술은 결국 눈속임 일텐데요.

마술사들이 하는 마술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어도 마술사들의 눈속임을 알아내지 못할때가 많은데요,

아주 오래전 방한했던 유리겔라(정확히 모름)가 TV방송국에서 시청자들을 향해서 따라하라고 했던적이 있었고 그대로 했더니 쇠가 휘어지고, 어쩌고저쩌고 했었지요.

당시의 유리겔라가 앞서했던것이 마술이었는지 아니면 시청자들이 따라했을때 그대로 됐던것은 과학과 어떤관계가 있는지 새삼 궁금해 지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유리겔라의 마술이 실제로 마술이었는지 아니면 과학적인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었는지는 저도 자세히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마술이라는 것은 과학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는 점에서 마술과 과학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마술사들은 과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눈속임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물리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물건을 날리거나 사라지게 만들거나, 화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불을 만들거나, 심리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인식을 조작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마술과 과학은 서로 복잡하게 엮여 있습니다. 마술은 과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눈속임을 만들어내는 예술이며, 과학은 마술사들이 사용하는 원리들을 설명하고 이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마술은 과학을 흥미롭게 만들어주고, 과학은 마술을 더욱 신기하게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유리겔라는 2007년에 자신은 초능력자가 아니라 엔터테이너라고 공식으로 초능력자가 아님을 공표했습니다.

    이 공표를 하게 된 배경에는 1964년부터 유명 마술사 제임스 랜디가 마술기법을 초능력이라고 사기를 치는 초능력자들을 검증하기위해 상금을 내걸면서 시작됐습니다.

    수많은 유명 자칭타칭 초능력자/염력술사들이 제임스랜디로부터 초능력자임을 인정받고, 상금도 타낼 목적으로 단계적인 테스트를 받게되는데 단 한명도 1단계조차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그렇게 초능력자라고 주장하던 사람들은 사기였음이 밝혀집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유리겔라의 숟가락 구부리기 마술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정확하게는 숟가락의 일부에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한 트릭이었습니다.

    일정한 부분은 바로 구부러지는 부분이었는데요, 이 부분을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 해당 부분을 손으로 문지르면 온도가 바뀌며 구부러진 것이 펴지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었던 것이죠.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술은 전체가 트릭으로 이루어진 Show 입니다. 유리겔라가 선보였던 숟가락 휘게하는 트릭은 제임스 랜디라는 마술사냥꾼에게 까발려 졌다고 합니다.

    제임스 랜디는 유리 겔라의 초능력이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트릭이라고 밝혔습니다.

    유리겔라는 마술이 아닌 온도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작용을 그럴듯하게 포장했던 거였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마술은 대부분 인간의 시각, 청각, 감각 등에 대한 눈속임과 손짓, 동작 등의 트릭을 이용하여 권모술수를 부리는 예술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마술사들의 마술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일부 마술은 과학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리겔라가 시청자들 앞에서 쇠를 휘는 트릭은, 쇠가 실제로는 휘어지지 않고, 시선이 실제로는 휘어보이는 굴절의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유리겔라는 이 트릭을 수행하기 위해 특별한 렌즈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마술은 인간의 인지, 지각, 인식 등에 대한 눈속임과 연출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마술사들은 이러한 비밀을 지키기 위해 대부분의 경우 마술 트릭을 공개하지 않으며,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에도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유리겔라의 쇠가 휘어지는 효과는 다양한 과학적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쇠를 휘는 행위 자체는 마술적인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요소에 근거한 것입니다. 쇠는 물리학적으로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강성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적당한 힘이 필요합니다. 유리겔라가 시청자들에게 따라하도록 한 것은 쇠를 휘는 것이 아니라 쇠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하는 것이었습니다. 유리겔라는 쇠를 휘는 동안 몸을 특정 각도로 기울여서 쇠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이 경우에는 마술 효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효과를 만들어냈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따라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