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성경험이 없는 사람을 은어로 아다라고 하던데 어원이 무엇인가요?
보통 성경험이 없는 사람을 은어로 아다라고 하잖아요
이게 일본말인줄 알았는데 일본인이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그럼 아다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아다'는 성경험이 없는 사람을 뜻하는 한국의 은어로, 주로 온라인이나 젊은 층 사이에서 사용됩니다. 이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명은 일본어 **'아타라시(新しい, あたらしい)'**에서 유래했다는 것입니다. '아타라시'는 '새롭다'는 뜻으로, 여기서 '새것', 즉 아직 경험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게 되었고, 한국에서는 이 단어가 줄여져 '아다'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아다(아타라시): 일본어로 '새롭다'라는 뜻에서 유래. 성경험이 없는, 즉 '새것'이라는 의미로 변형되어 한국에서 은어로 사용됨.
후다(후루이): 반대로, 성경험이 있는 사람을 뜻하는 은어로, 일본어 '후루이(古い, 낡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아다'의 어원이 일본어가 아니라 우리말 '안돼'에서 변화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이 설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성경험의 유무를 구분하는 은어로 '아다'와 '후다'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일본 유흥문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한국에서는 2000년대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널리 퍼졌습니다.
정리하면, '아다'는 일본어 '아타라시(새롭다)'에서 유래한 단어로, 성경험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은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