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에서의 기체교환, 폐에는 왜 산소가 많나요
온몸을 순환한 혈액이 폐동맥을 거쳐 폐속의 폐포에서 산소,영양소를 받고 이산화탄소,노폐물을 주잖아요,그러면 폐는 좋은건 내어주고 나쁜건 받아들이게 되면 폐에 좋지 않은거 아닌가요?̊̈ 폐에는 산소가 왜 많은것이며 폐가 받아들인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는 어디로 배출되나요
안녕하세요.
폐에서의 기체교환 과정은 혈액이 폐에 도달할 때 낮은 산소 농도와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폐포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신선한 산소를 흡수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혈액은 다시 산소가 풍부해지며, 이산화탄소는 호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폐가 "나쁜 것"을 받아들인다기보다는, 필요한 교환을 통해 몸의 다른 부분으로 산소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폐에 산소가 많은 이유는 이러한 기체 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폐에서의 기체 교환은 호흡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때 폐포에 산소가 많은 이유는 호흡기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선, 인체에서 산소는 세포 호흡 과정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적절한 양의 산소가 필요합니다.
폐는 호흡기관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폐포로 산소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산소는 폐포 내에서 혈소판과 결합하여 혈액을 통해 신체 각 부위로 운반되어 세포 호흡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폐는 산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산소가 풍부하게 공급되는 장기입니다. 후
또한, 폐의 기도구조와 폐포의 특성으로 인해 산소가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폐포는 표면적이 매우 크고, 혈관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폐는 산소가 많이 공급되는 장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폐에서의 기체 교환은 혈액과 대기 사이의 농도 차이로 인한 확산 현상에 기반합니다. 폐는 지속적으로 호흡을 통해 신선한 공기(산소가 풍부한)를 받아들이고 있어 산소 농도가 높게 유지됩니다. 혈액 내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은 농도가 높아 폐포로 확산되고, 이는 호기를 통해 체외로 배출됩니다. 이 과정은 연속적으로 일어나므로 폐 내부에 해로운 물질이 축적되지 않습니다. 폐의 주요 기능은 이러한 기체 교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며, 폐 조직 자체는 이 과정에서 직접적인 손상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폐는 '좋은 것'을 주고 '나쁜 것'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혈액과 대기 사이의 기체 교환을 중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우리 폐의 주 기능은 가스 교환인데 폐포에서 혈액이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고 산소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이루어지며 이는 폐에 해가 되지 않습니다. 폐에 산소가 많은 이유는 단순히 우리가 지속적으로 호흡으로 외부공기를 들이마시기 때문입니다. 폐가 공기를 받아들이게 되면 이산화탄소와 일부 노폐물들은 호흡을 통해 다시 체외로 배출됩니다. 다시말해 날숨 때 이산화탄소가 공기 밖으로 나가는 것인데, 혈액 속 다른 노폐물들은 주로 간과 신장에서 처리됩니다. 그래서 폐는 가스 교환의 중심 역할을 하는 기관이지만 모든 노폐물 처리를 맡고 있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대기로부터 폐포 내로 운반된 산소가 조직의 사립체(mitochondria)에서 호기성 대사과정(aerobic metabolism)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폐에는 약 3억 개 정도의 폐포가 존재하는데요, 표면적을 넓혀 기체교환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게 합니다. 코로 들이마신 공기는 폐로 이동하며 폐에서 기체의 분압 차이에 의한 확산으로 신체를 구성하는 온몸 세포로 전달됩니다. 이후 조직세포로부터 발생한 노폐물 및 이산화탄소는 다시 폐로 이동하고 호흡을 통해 체외로 방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