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차트에서 rsi와 cci의 차이점이 뭔가요?
코인 거래를 하다보면 차트를 보게되는데요
주변사람들 말로는 과매수와 과매도를
보여준다고해서 보면 분명 cci는 과매수인데
rsi는 아닌경우가 있더라고요. 물론
반대경우도 있고요
rsi와 cci차이점을 시원하게 설명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RSI라는 것은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서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따른 주식의 상대적인 강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14일 이동평균을 기반을 계산하게 되며 주식 가격의 상승 기간 동안의 평균 상승폭과 하락 기간 동안의 평균 하락폭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RSI를 산출하는 방법은 [평균 주가 상승폭 / (평균주가상승폭 + 평균주가하락폭)]으로 산출하게 됩니다. RSI는 0에서 100사이의 값을 가지게 되는데, RSI가 50% 이상은 매수가 우세하며 반대로 50%이하라면 매도세가 우세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RSI가 70이상이면 일반적으로 주식이 과매수 상태로 판단하게 되고 RSI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과매도 상태로 판단하게 됩니다. 이러한 RSI지표를 통해서 해당 주식에 대한 과매수나 과매도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과매수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주가가 과매도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지표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다음으로CCI라는 것은 'Commodity Channel Index'의 약자로서 주가사이를 이동평균한 값의 편차를 통해 현재 주가가 일정기간의 평균값에서 얼마나 차이가 나 있는지를 확인하는 변동성 지표입니다. 해당값의 산출은 [(M-m)/3 / (0.015 X d)]로 산출됩니다.
* M = (고가+저가+종가) / 3
* m = M의 특정기간동안의 단순 이동평균
* d = (M-m)의 절대값의 특정기간동안의 단순 이동평균CCI지표값이 0이라는 것은 현재의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일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CCI값이 +는 상승세에 있다는 것을 말하며 반대로 -인 경우에는 해당회사의 주가가 하락세에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보통 CCI를 통한 시그널은 0을 돌파해서 +로 되는 경우에는 매수 시그널로 활용하고 반대로 0을 돌파하여 -로 되는 경우에는 매도 시그널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ci 는 최근 가격이 평균가격의 이동평균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표시하여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주는 지표
RSI는 우리나라말로 상대강도지수라고 부르며,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si -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의 추세가 전환되는지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cci - 현재 주가가 평균 주가와 얼마나 차이가 발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