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선진국들은과거에 산업혁명을
지금의 선진국들은과거의 산업혁명을거치면서 엄청난
산업의발전과 그이면에는 환경을파괴하고.이룬업적이 많은데
지금의 후진국과 개도국은 이제야 그런 과정을거치고
있고 환경오염되기도 하는데 지금의 선진국들이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고 외치는게 너무 이기적인것 같은데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현재 선진국들이 과거 산업화 과정에서 상당한 환경 파괴를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이제 막 산업화 단계에 진입한 개발도상국들에게 환경 보호를 요구하는 것은 불공정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진국들이 환경 보호를 강조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있습니다. 우선 지구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뒤늦게 인지했기 때문인데요. 기후 변화 등은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전 지구적 위협임을 알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자신들의 과거 오염 배출이 현재의 환경 문제에 누적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고 책임감을 느낍니다.
또한, 이제는 친환경 기술로도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기술적 대안을 제시하려 합니다. 환경 문제는 지구 공동의 미래가 걸린 문제이므로 모든 국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논리입니다.
물론 개발도상국 입장에서는 경제 성장이 우선이고 선진국의 요구가 불공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국제사회에서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친환경 전환을 위한 자금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의 책임과 현재의 필요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하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선진국과 후진국의 입장 차이로 해석됩니다.
이는 윤리적 차원에서 선진국의 환경 요구는 미래 세대를 위한 주장과 대립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기본법은 현재 세대가 미래 세대에게 책임을 전가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하고 있지만
개발도상국은 자신들의 성장 기회를 박탈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해결를 위해서는 선진국의 기술과 재정 지원이 필수적으로 공정한 분배가 필요하다고 보여 집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과거 수십 년 동안 선진국들이 산업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자원을 소비하고 환경에 부담을 주어 왔기 때문에 그들이
이제 와서 환경 보호를 강조하는 모습이 역설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선진국들이 환경
보호를 강조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국경을 넘어선 문제로 모든 국가가 협력해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선진국들은 그들의 역사적 책임을 인정
하고 기술적 발전과 자원을 활용해 다른 국가들이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즉, 선진국들의 환경 보호 주장이 이기적일 수 있지만 그들이 주도할 수 있는 기술적, 경제적 변화를 통해 전 세계가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도 존재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