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24.03.05

원숭이보다 유인원이 사람이 더 가까운 동물인가요? 해부학적 특징이 확연하게 차이가 나나요?

저는 원숭이와 유인원을 다르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원숭이 그리고 고릴라 침팬치 같은 것들을 똑같이 생각했었는데 유인원과 원숭이는 엄연히 다른 종이라고 하더군요. 윤인원이 더 가깝다고 하는데. 겉으로 볼 때는 다 비슷비슷해 보이고 있는데 어디가 사람에 더 가까운지 모르겠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유인원의 해부학적적인 특징이 확실히 사람과 많이 닮았나요? 원숭이와 비교해서 확연이 구분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원숭이는 사람과 시작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종으로 진화된 것입니다. 유인원이 현재의 인간이 진화하기 전의 형태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인원의 정의는 원숭이와 오랑우탄, 고릴라 등등과 같이 인간과 유사한 특징을 많이 지닌 포유류를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즉, 원숭이도 유인원에 속합니다. 다만 진화계통적으로 인간과 원숭이는 조상을 공통적으로 두지않고 진화해 왔을것이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인원과 원숭이는 분류학적으로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합니다 사람과 더 가까운

    것은 유인원인데 이는 해부학적으로

    많은 유사점 때문입니다

    유인원에는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

    그리고 보노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직립 보행을 할 수 있는

    적응을 보여주는 넓은 가슴과

    짧은 허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유인원의 다른 두드러진 특징은

    그들의 손입니다 이들은 매우 유연한

    손가락을 가지고 있어 복잡한 동작과

    도구 사용이 가능합니다

    인간과 유인원은 대뇌의 발달도 비슷하여

    복잡한 사회적 행동과 학습

    문제 해결 능력이 높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반면 원숭이는 더 다양한 생태계에서 살고

    있으며 주머니쥐머니 원형의 꼬리를 가진

    종들이 많습니다

    유인원과 인간은 DNA 수준에서도 매우

    가깝습니다 침팬지와 인간의 경우 약

    98%의 DNA가 유사합니다

    이와 같은 해부학적 정신적 유전적 특징이

    유인원을 인간과 가까운 종으로

    구분짓게 만듭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분류학상, 사람과 같이 영장목 인간상과(Hominoidea)를 구성하는 동물군. 신체구조가 원숭이류보다 더 사람에 가깝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유전학적 분석에 의하면 침팬지, 피그미침팬지가 계통적으로 사람에 가장 가깝고 DNA의 98% 전후를 공유, 고릴라는 이들보다 DNA의 공유율이 약간 낮고, 오랑우탄은 사람 및 아프리카의 유인원과 DNA의 97% 정도를 공유한다. 따라서 종래의 오랑우탄아과에 이들 대형 유인원을 일괄해서 분류하고, 사람만으로 이루어지는 인간과 대치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사람과 이외의 유인원과의 신체적 차이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이 오래된 분류법을 채택하는 연구자가 적지 않다. 또 새로운 분류에서도 사람을 대형 유인원으로부터 구별하는 분류 수준에 관해서는 의견이 종합되지 않고 있다. 유인원이 신체나 행동 면에서 사람과 유사한 것으로는 뇌가 크고, 반직립 또는 직립자세를 취하는 경향이 있으며, 두개골의 기본적 구조, 이의 형태와 치식(2 · 1 · 2 · 3), 충수가 존재하고, 꼬리가 없으며 사지 관절의 가동성이 크고, 좌우에 편평한 몸통을 갖는 것 등이 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인원과 원숭이는 엄연히 다른 종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원숭이와 고릴라 침팬치 등은 모두 원숭이과에 속하는 동물들이지만 유인원은 인류와 더 가까운 유인과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따라서 유인원과 원숭이를 같은 종으로 생각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유인원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해부학적인 특징에서도 사람과 많이 닮았습니다. 예를 들어 유인원의 뇌 구조는 인간과 매우 유사하며 손과 발의 구조도 사람과 비슷합니다. 그리고 유인원의 얼굴 형태와 눈의 위치 코의 모양 등도 인간과 매우 닮았습니다.

    원숭이와 비교했을 때 유인원은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원숭이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꼬리를 이용해 나무를 타고 다닙니다. 하지만 유인원은 땅에서 걷는 두 발로 직립 보행을 하며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인원은 원숭이보다 더 발달한 뇌를 가지고 있으며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등 높은 지능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외모나 특징만을 비교한 것이며 유전학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부학적 특징

    • 꼬리: 유인원은 꼬리가 없는 반면, 대부분의 원숭이는 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직립 보행: 유인원은 두 발로 직립 보행이 가능하며, 특히 인간은 완벽한 직립 보행을 합니다. 반면, 대부분의 원숭이는 네 발로 걸어 다닙니다.

    • 뇌 용량: 유인원은 원숭이보다 뇌 용량이 훨씬 크고, 특히 인간은 가장 큰 뇌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 : 유인원은 앞을 향해 위치한 눈을 가지고 있어 입체 시각이 가능합니다. 반면, 대부분의 원숭이는 측면을 향해 위치한 눈을 가지고 있어 입체 시각이 제한적입니다.

    • 엄지손가락: 유인원은 움직임이 자유로운 엄지손가락을 가지고 있어 정밀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부학적 특징을 보면 유인원이 사람과 더 가깝습니다. 유인원은 꼬리가 없고, 뇌 용량이 크고, 직립 보행이 가능하며, 앞발의 엄지손가락이 길고 다른 손가락과 마주보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원숭이는 꼬리가 있고, 뇌 용량이 작고, 네 발로 걷거나 나무를 타고 다니며, 앞발의 엄지손가락이 작고 다른 손가락과 마주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인원과 원숭이는 모두 영장류에 속하는 동물이지만, 유인원은 사람과 더 가까운 친척으로 분류됩니다. 유인원은 인간과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부학적으로도 사람과 유사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인원은 엄지 손가락을 가지고 있어서 손을 잘 사용하며, 얼굴 구조나 뇌의 크기 등도 사람과 유사합니다. 원숭이와 비교했을 때, 유인원은 사람과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진화적으로도 사람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인원과 원숭이는 구별이 쉽습니다. 바로 꼬리 유무로 구별 할 수 있습니다. 인류 최초의 조상이 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같은 유인원의 경우는 외모는 원숭이와 유사하나 꼬리가 없습니다. 원숭이 류는 전부 꼬리가 존재하여 이를 구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인원과 원숭이는 모두 영장류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그러나 둘은 엄연히 다르며, 둘을 가르는 가장 큰 차이는 꼬리의 유무입니다. 아래는 유인원과 원숭이의 주요 차이점입니다.

    1. 꼬리의 유무: 유인원은 꼬리가 없고, 원숭이는 꼬리가 있습니다. 원숭이의 꼬리는 몸의 균형을 잡고 나무타기를 할 때 꼭 필요한 신체기관입니다. 유인원들은 이 꼬리가 퇴화되었습니다.

    2. 볼주머니의 유무: 유인원은 볼주머니가 없고, 원숭이는 볼주머니가 있습니다. 볼주머니는 입안에 먹이를 저장하는 공간이며, 먹을 것이 있으면 볼이 터져나갈 정도로 먹이를 집어넣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유인원은 원숭이보다 사람과 더 가까운 동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해부학적 특징은 확연하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