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빗체인은 해킹의 위험에서 안전한가요?
과거에 인터넷사이트에 입력된 개인정보들이 해킹으로 인해서 많이 털렸다고 들었는데,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프라이빗체인에 입력한다면 해킹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블록체인의 해킹위험성에 대한 소리도 나오고 있는 가운데에 프라이빗 체인에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개인정보를 보호 할 수있는지 알고 싶어요.
프라이빗 블록체인도 해킹으로부터 100% 안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개인정보가 들어있다고 하더라도 해킹을 당할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경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가 퍼블릭 블록체인에 비해 적으므로 네트워크를 해킹하는데 필요한 컴퓨팅 파워도 더 적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경우 자체적인 블록체인을 특정한 목적으로 만들어서, 또는 솔루션을 활용하여 운영할 만한 기업들이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할 만한 보안 대책을 수립하리라 생각합니다.
예를들면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기록을 다른 별도의 블록체인에 똑같이 기록함으로써 정보의 위변조를 막거나, 다른 믿을 수 있는 제3의 보안, 감사 기능을 하는 주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추가적으로 구현하는 방법도 있을 것입니다.
아니면 노드 자체들의 보안 수준을 높임으로써 해당 노드들이 해킹을 당하지 않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면 은행 공동으로 사용하는 블록체인의 경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가 되는 각 은행들 자체의 보안 수준이 높아짐으로써 해킹 위협을 줄이게 되는 것이죠.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완전히 개인화된 블록체인으로써 현 중앙 기관이 모든 권한을 가지며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선 그 중앙기관의 허락이 필요한 블록체인 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기 때문에 비트코인이 네트워크에서 이슈가 되었던 51% 공격인 Sybil attack에 대해서도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유지 비용도 비트코인과 달리 제로가 되죠.
하지만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모든 권한을 가지는 중앙기관이 외부의 공격으로 부터 침해시도를 당하게 되면 질문주신 것처럼 해킹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해킹을 받게 되면 데이터의 위변조가 가능해 질 것이며 개인정보 유출 또한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때문에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기업은 중앙기관의 역할을 하는 서버에 대해 외부로부터 노출을 피해야하며, 만약 노출되더라도 외부로부터 공격을 막기위한 여러가지 보안적인 조치를 취해야 될 것입니다. 즉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더라도 100% 안전한 것은 아니게 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