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주의) 이거 편도결석인가요? 목구멍, 편도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게 편도결석일까요?
저는 비염이 있고, 담배를 피지 않으나 가래가 자주 끓습니다. 양치도 꼬박꼬박 하는데 입냄새가 올라오고요. 그동안 입냄새가 비염 때문인 줄 알았는데, 혹시 편도결석일 가능성이 있을까요? 편도에 핏줄이 올라온 것도 정상정인 것 같지 않아 여쭤봅니다.
만약 편도결석이라면, 집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예방법이나 제거, 해결방법을 알려주세요. 편도결석이 아니라면, 비염 치료를 받아야 입냄새가 사라질까요? 비염이 입냄새의 원인일 수 있나요? (일상생활 내내 코-목구멍 사이 막힌 느낌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핏줄이 올라온 것은 크게 문제가 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편도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편도선염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치료하고, 입안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구강 위생을 철저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 물을 자주 마시고, 식사 후에는 철저히 양치질을 하며, 양치 후에는 항균 성분이 포함된 가글액으로 가글하면 편도결석의 재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편도결석 예방에 효과적이며, 구강 건강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구취의 약 85~90%는 구강 내부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10~15%는 전신적인 내과 질환이나 비강 및 상기도의 염증 등 구강 외적인 요인에 의해 생깁니다. 생리적 구취의 원인으로는 수면 중 침 분비가 멈추어 입 안의 음식물 찌꺼기가 부패하고 구강 내 세균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잠에서 깨어난 직후의 구취, 긴장 상태나 공복 시 침 분비가 감소해 나타나는 구취, 연령 증가로 인한 침샘의 감소와 침 성질의 변화, 월경이나 임신 등 호르몬 변화로 인한 구취, 혀의 후면과 측면에 많은 세균이 서식하면서 발생하는 설태, 흡연 및 음주로 인한 지속적인 구강 건조 상태, 마늘이나 양파 같은 특정 음식물 섭취 등이 있습니다. 병리적 구취의 원인으로는 구강 내 원인과 구강 외 원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구강 내 원인으로는 과도한 치태 및 치석, 설태, 위생 관리가 안 되는 사랑니, 구강 내 음식물 잔류, 치아 우식증, 잇몸 질환, 구강 연조직 감염, 구강암, 구강 캔디다증, 혀 질환, 틀니나 오래된 보철물, 구강 건조증 등이 있으며, 구강 외 원인으로는 코, 인두, 폐에서 나는 냄새(상악동염, 폐암, 기관지 확장증, 비강 내 이물질, 두개 안면 기형), 전신성 질병에 의한 냄새(당뇨병, 신부전증, 간부전증), 위장관에서 나는 냄새(역류성 식도염) 등이 있습니다. 구취의 주요 원인 요소로는 구강 내 혐기성 그람 음성균이 침, 치은 열구액, 혈액 및 세포에 존재하는 황 함유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악취 물질을 생성하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