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GOT, GPT가 AST,ALT로 변경된 시기와 이유가 뭔가요?

옛날에 간수치, 간기능을 표시할 때는 GOT와 GPT라는 명칭으로 사용하다가 어느 시기부터인가 AST, ALT로 바꾸어 사용하는데 공식적으로 명칭이 바뀐 때와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간수치 항목인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와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는 간세포 손상 여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효소입니다. 이전에는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Alanine Aminotransferase)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AST와 ALT는 간세포 손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려워 대체로 함께 측정하고, 이들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간기능의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 AST와 ALT는 다른 조직에서도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들은 간외 다른 조직의 손상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간세포 손상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따라서, GOT와 GPT가 AST와 ALT에 대한 대체 검사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GOT와 GPT는 AST와 ALT에 비해 간세포에서만 발현되므로, 간세포 손상을 더욱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GOT와 GPT가 간수치 항목으로 대체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GOT와 GPT는 각각 글루탐산오전단트랜스퍼라아제(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와 글루탐산피루빈트랜스퍼라아제(Glutamic-Pyruvic Transaminase)의 약자였습니다. 하지만 이 두 효소는 간에서만 발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장기에서 발견되더라도 간 기능 검사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 혼동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1980년대부터 AST(As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Alanine Aminotransferase)라는 명칭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이것은 두 효소가 당당세포나 심근 등 다른 조직에서도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간에서 발생하는 질환 이외에도 다른 장기의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AST와 ALT는 각각 아스파타트 아미노전이라아제와 알라닌 아미노전이라아제의 약자이며, 간 기능 검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GOT와 GPT는 각각 혈중의 글루탐산옥살아미노전이효소와 글루탐산피루비칼옥살아미노전이효소를 나타내는데, 이것들은 간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효소의 검사 결과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뢰성에 한계가 있어, 1980년대 후반부터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Alanine aminotransferase)라는 지표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AST와 ALT는 모두 간세포에서 생성되는 효소로, 간기능이 저하되면 이 두 지표의 수치가 상승합니다. 이전의 GPT와 GOT는 다른 조직에서도 생성될 수 있어 간의 질병뿐만 아니라 심장, 근육 등 다른 조직의 손상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AST와 ALT는 간 기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는 AST와 ALT가 대부분의 경우 GPT와 GOT 대신 사용되고 있습니다.

    • 간수치와 간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지표인 혈중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GOT)와 Glutamic-pyruvic Transaminase(GPT)는 많은 연구와 임상 경험을 토대로 검증되어왔습니다. 하지만 이들 검사지표는 비교적 특이성이 낮아 다른 질환에서도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들 검사지표를 대체할 새로운 검사지표가 필요하게 되었고, 1955년에 개발된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와 1956년에 개발된 Alanine Aminotransferase(ALT)가 이에 해당됩니다. AST와 ALT는 간에 발현되는 것이 더 많아, 간손상을 감별할 때 보다 민감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AST와 ALT는 일반적으로 비강성인 검사지표로 간수치와 간기능을 평가할 때 더 많이 사용됩니다.

      AST와 ALT의 등장으로 인해 이들 검사지표가 공식적으로 GOT와 GPT 대신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정확한 명칭 변경 시기는 국가별로 다를 수 있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부터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AST와 ALT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요약하면, AST와 ALT는 GOT와 GPT보다 간손상을 민감하게 평가할 수 있는 검사지표이기 때문에 사용이 보편화되었고, 이로 인해 공식적인 명칭도 변경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옛날에 쓰던 것과 개선되어 쓰던 것입니다. 다만 큰 개념은 같기 때문에 혼용하여 쓰는 것입ㄴ디ㅏ. 일반인 관점에서는 그냥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 기능을 나타내는 검사지표이고 이와 더불어 r-GDP라는 수치도 참조해서 보게 됩니다. 술과 각종 인스터트 음식에 노출된 현대인에게는 r-GDP 수치가 더욱 중요할 수 있씁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