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지수 포인트에 대해 궁금합니다?
주가지수를 보면 보통 포인트로 표시 됩니다.
1000p, 2100p 등으로 표시 되는데 이렇게 표시되는 이유와 산출법은 무엇인가요?
또한 주가지수 선물의 경우 1p당 50만원 가량 책정이 되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일정 시기의 주식가격을 100으로 하여 산출한 주가의 지수. 상장된 모든 종목의 현시가 총액을 기준시점의 총액으로 나눠 100을 곱하는 공식을 사용하는데, 현재는 1980년 1월 4일의 주가지수를 기준(=100)으로 삼는다. 시가총액은 상장주식수를 주가와 곱해 전체를 합산한 금액이다. 따라서 단순주가계산이 아니라 가중(加重)주가계산방식이 된다. 그러므로 자본금이 많고 주가가 높은 것이 상승할 때는 주가지수의 변화도 한층 상향된다. 주가지수는 증권시황을 나타낼 뿐 아니라 물가지수나 경기지수처럼 경제상황도 알려준다. 주가란 미래의 투자가치 예상기대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재정경제부에서 경기종합지수를 뽑을 때 선행지수 속에 이것을 포함시킨다. 대개 주가지수는 실제 경기를 4개월 정도 앞서 반영한다고 한다.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은 크게 두자지로 나뉩니다.
첫번째로는 시가총액식입니다. 개별주식의 시가총액으로 계산한 방식인데 일정시점의 시가총액과 현재 시점의 시가총액을 비교하여 현재의 주가수준을 판단합니다.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가중하기 때문에 시가총액이 큰 대형주가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편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S&P 500 등이 이 방식으로 산출하고 세계 주요국 주가지수도 시가총액식으로 산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두번째로는 주가평균식인데 대상 종목의 주가를 단순 합산하여 종목 수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변동성이 큰 종목들이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 다우지수와 일본의 닛케이지수가 이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