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신속한굴뚝새46
신속한굴뚝새4623.03.04

우주의 모든행성은 둥글게 생겼나요?

우주에 수많은 행성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그 중에 단 하나라도 다른 모양을 하고 있는 행성은 없나요?

우주의 모든행성은 둥글게 생겼나요? 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관측되는 대부분의 행성은 둥글게 보입니다. 이는 중력이 행성의 물질을 모아서 구 형태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 구 형태는 물리학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형태 중 하나이며, 중력은 물체의 질량과 거리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더 많은 물질이 모여들면 중심으로 모이게 되고, 그 결과 구 형태를 이루게 됩니다. 또한, 행성의 중심에서 부터 멀어질수록 중력이 약해져서 행성 표면의 물질이 자연스럽게 구 형태를 이루게 됩니다.

    하지만, 모든 행성이 둥글게 생겨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석외형 (cucumber shape)으로 불리는 형태의 해왕성이 있습니다. 이는 해왕성의 극지방에 거대한 반지름을 가진 원반형 구름층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행성의 자전축이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또한, 자전속도가 빠른 행성은 질량 분포가 불균일하여 구 형태보다는 타원체나 구불한 형태를 띠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행성은 둥글지만 모든 행성이 둥근 것은 아닙니다.

    행성은 중력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둥근 모양입니다.

    행성은 별 주위를 도는 가스와 먼지 등의 흩어진 입자에서 만들어집니다. 중력으로 인해 입자는 서로 끌어당겨 덩어리를 형성하며 점점 더 커집니다. 입자가 충돌하면 가열되어 액체로 변하기도 하면서 중력에 의해 행성의 중심으로 당겨집니다. 중력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물질을 끌어오기 때문에 액체화된 물질은 구형을 형성합니다. 그래서 행성은 둥근 모양을 가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질량이 충분하지 못한 소행성은 울퉁불충한 모양을 가집니다.

    질량이 클수록 자체 중력이 물체를 더 둥근 형태로 만들게 됩니다. 하지만 소행성은 행성보다 작으며 중력이 너무 약해서 자신의 중력만으로 둥근 모양을 유지할 수 없기에 외부 영향을 받아 울퉁불퉁한 모양을 가지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모든 행성이 둥글게 생겼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행성이 자신의 중력으로 인해 둥글게 모양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행성이 둥글게 생긴 이유는, 초기 우주의 물질이 서로 충돌하며 충분한 질량을 모아 행성이 형성될 때, 중력이 모든 방향에서 균등하게 작용해 결국 둥글게 형성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가스 행성이나 암석과 가스가 혼합된 행성은 지름 자체가 크기 때문에 매우 납작한 타원형 모양을 띠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