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지구가 처음 만들어졌을때 바닷물의 양과 현재의 바닷물의 양은 차이가 있을까요?

최초 지구가 만들어졌을 때 바닷물의 양과 지금 바닷물의 양은 차이가 있겠죠? 당연히 소비가 되고 증발도 되고 대기 밖으로 날아가는 양도 있을테니 점진적으로 감소하는게 맞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볼수록빠른치타1
    볼수록빠른치타1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최초 지구가 만들어졌을 때 바닷물의 양과 지금 바닷물의 양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구가 형성될 때에는 지구의 내부에서 많은 양의 물이 방출되어 바다를 형성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지구의 지각 활동으로 인해 일부 바닷물이 지각 속으로 흡수되었고, 화산 활동으로 인해 일부 바닷물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었습니다. 또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바닷물의 증발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하수 개발 등으로 인해 바닷물의 양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오히려 증가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중력에 의해 가스나 먼지라든지 운석등 외부물질이 계속 유입이 되므로 오히려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 지구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초기 지구의 상태로 인해 바닷물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초기 지구는 물질이 분화되고 녹색 생물이 형성되기 이전에 거친 운석 충돌, 화산 폭발, 화학 반응 등으로 인해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바닷물이 일부 소모되거나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약 4억 년 동안에 걸쳐 지구는 지속적인 물 순환 과정을 통해 바닷물의 수를 원상태로 회복해 왔습니다. 수소와 산소로 구성된 물은 증발, 강우, 유입 등의 과정을 통해 지속적인 순환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의 현재 바닷물의 양은 초기에 비해 크게 다를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단, 인간의 활동이 지구의 생태계와 지구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가운데 바닷물의 양은 변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와 빙산의 녹아내림이 가속화되면서 바닷물의 수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생성되고 난 다음에 지구에 있던 물은 중력에 의해서 머물러 있게 됩니다.

    소행성과 같이 큰 충격이 있지 않는 이상 지구에 있는 물질은 중력에 의해서 잡혀 있게 되는데 따라서 지구에 있는 물의 양은 일종의 일정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소행성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일부 물이 외부로 방출되었을 수는 있지만 지구에 있던 많은 물의 양에 비하면 그 양이 크거나 하진 않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형성되었을 때 지구의 대기는 매우 뜨거웠고 이로 인해 바닷물은 증발하여 대기 중으로 올라갔습니다. 이후 지구의 온도가 점차 낮아지면서 바닷물이 응결하여 지구 표면에 비가 내렸고 이 비가 지구의 표면을 더욱 식혀주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구의 바닷물 양은 점차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이후 지구의 온도가 다시 상승하면서 바닷물이 증발하여 대기 중으로 올라가는 과정이 반복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닷물의 양은 점차 감소하였고 이는 현재의 바닷물 양과 큰 차이를 보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지구의 온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구의 온도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처음 만들어졌을때의 정확한 기록은 없으니 추정했을때 지금보다 더 추운상태였고 생태계가 없는 상태는 분명하기에 바닷물의 양은 많았을거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