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겨울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이번 겨울 국내 여행준비중인데 여행지추천 부탁드립니다. 바다, 산이 있는 곳이면 좋을거 같습니다. 맛집도 같이 부탁드리고 교통편도 추천부탁드립니다.
11월 순천만국가정원 추천합니다
11월중순에는 갈때도 절정이고..
유네스코등록된 흑두루미가 1500마리인 절반이 우리나라에서
겨을을 난다고해요
망원경 무료대여등 갈대밭이 여의도 면적1.5배라고함 ..
넓은곳 갈대 열차로 이동 어르신도 괜찮을듯함 ..
먹거리도 꼬막정식(제철)짱뚱어탕등
우리나라에서의여행은당연히강원도인데그중에서도속초양양권이라생가됩니다특히겨울의설악과속초바다느환상적이지요.
청양 알프스 마을, 칠갑산얼음분수축체
정산면 천장리의 알프스마을에서 펼쳐지고 있는 칠갑산얼음분수축제가 2024년 1월 1일부터 2월 18일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
칠갑산얼음분수축제는 ‘충남의 알프스에서 만나는 겨울왕국’으로 유명하여, 겨울동안 얼음이 녹지 않는 이 마을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많은 방문객들에게 추억을 선사하고 있다.
안녕하세요:)
저는 겨울에 춘천 다녀오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워낙에 유명하고 맛있는 닭갈비집이 많고, 막국수 맛집도 있구요~
밥 먹고 나서는 경치 좋고 이쁜 카페에 가셔서 따뜻한 커피 한잔 하시구..
소양강댐과 공지천 쪽 둘러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무주 덕유산>
리조트곤돌라와 스키장, 스노우보드 시설을 갖춘 겨울 인기 여행지에요.
정상에서 눈꽃 산행과 무주 온천도 함께 즐길 수 있어 휴식과 설경 감상이 모두 가능해요~
<제주 한라산 설경 트레킹>
한라산의 윗세오름, 백록담까지 오르는 설경 트레킹은 이색 겨울 경험을 제공해요. 제주도의 남쪽 겨울 풍경을 직접 경험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드려요~!
저는 강원도 강름.동해 추천해요. 일단서울에서 교통이 ktx. 버스 다많고 가서도 가을바다에 회까지 아주 좋은코스가될거같아요
- 감성적인 겨울도시 여행으로
서울
남산타워 야경, 명동·덕수궁 돌담길 산책, 루프탑 카페 데이트 코스.
겨울 한정 서울빛초롱축제, 청계천 불빛축제도 인기.
부산
바다는 겨울에 더 감성적이에요.
해운대 빛축제, 광안리 카페거리 추천.
전주
한옥마을 눈 덮인 풍경 + 전주비빔밥 & 막걸리 골목.
한복 입고 눈길 걷는 사진 스팟 많아요....
추천드려요
저는 따뜻한 남쪽으로 가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남해안이나 부산 좋아요. 부산 해운대에서 겨울 갈매기도 보시구 신선한 회랑 해산물 추천합니다
몇군데 추천해드릴게요~
무주 덕유산
겨울 산행과 곤돌라, 스키, 그리고 환상적인 눈꽃 트레킹 명소로 유명해요. 가족 단위로도 많이 찾는답니다.
강원도 평창, 대관령
평창은 겨울풍경이 아름답고 대관령 양떼목장은 한국의 알프스로 불립니다. 오대산, 선자령 등산도 겨울 명물이에요.
강원도 홍천, 가평
어비계곡이나 비발디파크 같은 리조트에서 겨울 스포츠와 눈 쌓인 자연을 즐길 수 있습니다.
청양에 알프스 마을 조심히 추천해 봅니다 겨울에 즐길 수 있는 썰매며 군밤도 구워 먹을 수 있고 눈도 몸도 호강하고 왔던거 같아요~!!
겨울여행지로 강원도쪽 눈않올때 가보세요 강원도 양양도 좋구요 삼척 고성에도 먹거리 볼거리가 많아요 즐거운 겨울 여행 되세요 그리고 정선도 추천해요
1. 강원도 평창 / 대관령
대관령 양떼목장, 삼양목장 설경 절경
휘닉스평창, 알펜시아 스키장도 가까움
2. 강릉
눈 오는 바다, 안목해변 카페거리
바다 보며 커피 한 잔 겨울 감성 최고
3. 설악산 (속초 / 인제)
겨울 산행이나 케이블카 타며 눈덮인 설악 절경
속초 중앙시장, 대게거리 맛집도 풍성
겨울 여행지로 부산을 추천합니다
겨울에 너무 추운곳이 아니고 ㆍ바다와
산이 멋진 부산을 적극 추천합니다
광안리ㆍ 해운대 바다와 송도의 벽화마을 ㆍ특히 부산 국제 영화제도 즐겨 보세요
강화도 추천드립니다!!!
바다와 산이 둘 다 있는 곳을 찾으려면 많긴 하지만 제주도 한라산-바닷가도 좋구요 거주하시는 곳이 어딘지 모르겠지만.. 경기도면 강화도 아니면 제주도 좋은데 제주도는 물가가 비싸서…
겨울 성수기(특히 연말)에는 KTX나 숙소 예약이 빠르게 마감될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악산/오대산 등산: 겨울 산행은 아이젠, 방한복 등 안전 장비를 철저히 갖추고, 기상 상황(폭설, 한파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케이블카는 기상 상황에 따라 운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