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처음부터보기좋은연어회
처음부터보기좋은연어회

채권과 금 투자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최근들어 급락하는 주식장을 보니 자산배분의 중요성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주식 하락은 쓰라라지만 이또한 배움의 기회라 느끼는데요, 채권과 금 투자를 자산배분 차원에서 공부해보려 합니다.

우선 채권은 만기가 정해져 있는것으로 아는데요, 미국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에 투자한다고 하면, 그 만기의 적용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단,중,장기채의 특징과 장단점이 궁금하며, 주식처럼 증권어플응 통해 사고 팔면 되는 것인지 궁금해요.

또한 금 투자는 어떻게 해야되는 것이며 수수료, 세금이 주식과는 다른 것으로 들었는데 그 구체적인 사항이 궁금합니다!

아직 배워가는 입장이고, 투자에 대해 잘 알지 못하여 친절한 설명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투자 시 자산배분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전략입니다. 미국의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는 각각의 만기가 정해져 있으며, 단기채는 1년 미만, 중기채는 2년에서 10년에 해당되고, 장기채는 10년 이상이 일반적입니다. 이들 채권은 증권 앱을 통해 쉽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각 채권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채: 낮은 수익률, 높은 유동성

    • - 중기채: 중간 수익률, 중간 유동성

    • - 장기채: 높은 수익률, 낮은 유동성

    채권 투자의 세금은 이자소득에 대해 15.4%가 부과됩니다. 금 투자시 관리비용이나 보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세금도 주식과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채권의 만기가 되면 약정된 금리와 원금을 일시에 받게 됩니다

    • 이 때 만기 기간에 따라서 금리 변화에 따라 채권 가격 변동폭이 다릅니다

    • 채권 가격 변동폭이 큰 상품은 만기가 상대적으로 긴 상품에 해당합니다.

    • 만기는 단,중,장기채로 말만 하지만 실제 채권을 매매할 때는 해당 만기 기간을 알려주기 때문에

      만기는 정해져있습니다.

    • 금 투자는 실물 금으로 투자할 수도 있고 ETF를 통해서 현물을 간접투자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이 때 ETF 매매는 수익에 대해서 15.4%의 배당소득세를 부과하기 때문에 해당 ETF는 비과세계좌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