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귀한게논239
고귀한게논23923.09.07

우리나라 인공위성은 왜 나로호가 되었나요?

우리나라 인공위성은 왜 나로호가 되었나요?

나로호라는 이름이 따로 정해진 이유가 있나요?

그 말의 기원도 궁금합니다. 왜 나로호가 대표가 되었는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로호는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됨에 따라 붙게된 이름입니다. 여기서 나로는 순우리말로 나라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면 호는 호랑이의 호를 추가하여 우리나라 독자 기술을 세계에 널리 알리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로호"는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첫 번째 국가 인공위성으로, 그 이름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나로는 한국의 전통적인 이름으로, 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심볼로 사용됩니다. "나로"는 한국어로 "나"라는 의미이며, 이는 국가 자존심과 주인의식을 상징합니다.호는 한자로 "호랑이"를 의미합니다. "호"는 한국의 전통문화와 자연을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지며, 우리나라에서는 힘과 용기, 자부심을 상징하는 상징적인 동물입니다. 이를 통해 나로호는 한국이 우주 분야에서 힘과 자부심을 가지고 나아가는 의지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로"는 옛날 한자로 "나라"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이 자주 사용되는 줄임말로서, 대한민국이 자신의 기술과 역량을 표현하며 독자적인 인공위성을 개발하여 우주에 보낸다는 의지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본래 우리나라 첫 우주 발사체 나로호는 태극호였습니다.

    2009년, 국민 명칭 공모 결과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이름이죠. 그러나 태극호란 이름은 이미 먼저 등록한 사람이 있었고 협상에도 불구 해당 이름의 특허를 얻지 못해 결국 나로우주센터의 이름을 딴 '나로’가 선정됐습니다.

    그리고 나로라는 이름은 우주센터가 있는 전남 고흥 외나로도 지명을 딴 것이며, 해당 지명은 조선시대 국가에 바칠 말을 기르던 ‘나라 섬’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우리나라 인공위성은 1992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2013년 1월 30일 나로호에 의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습니다. 나로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체로, 국산 기술로 개발된 최초의 발사체이기도 합니다.

    나로호의 이름은 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습니다. 나로호라는 이름은 전남 고흥군의 외나로도에서 따온 것입니다. 외나로도라는 지명은 "바깥쪽의 나루터"라는 뜻으로, 나로호가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을 앞당기고,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발판이 되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나로호(나로호 1호, Naro-1)는 대한민국의 최초로 개발된 인공위성이고, 나로호 발사 첫 시도인 "나로호 1호"가 탑승한 태양 동기 궤도로 발사 시도된 고려-로켓입니다. "나로"는 한국어로 "빛" 또는 "광선"을 의미하며, "호"는 "호"형태의 일반적인 명칭 접미사입니다.

    나로호의 이름은 한국 천문학자들의 기원을 담고 있습니다. "나로"라는 단어는 한국 전통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한국 천문학과 우주 탐사의 진보를 상징하는 것으로 고려되었습니다. 나로호는 대한민국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인공위성이자 탐사 로켓으로, 한국의 우주 탐사 분야에서의 기술력과 역량을 대표하는 중요한 이벤트였습니다.

    나로호는 2009년 8월 25일에 처음으로 발사되었지만, 발사 시도는 실패로 끝났습니다. 그 후, 대한민국은 우주 탐사 분야의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계속 노력하고, 이후에도 다른 발사 시도와 함께 나로호 2호, 나로호 3호와 같은 다른 인공위성 미션도 수행되었습니다. 나로호와 관련된 노력은 한국의 우주 연구 및 탐사 분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국내 우주 기술의 개발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체인 나로호의 이름은 "나로"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 나로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센터인 나로우주센터(Naro Space Center)가 있는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따온 것입니다. 나로우주센터는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을 위한 핵심 시설로, 인공위성 발사, 우주인 배출, 우주탐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나로호의 이름은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나로"라는 단어는 "떠오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한 꿈과 도전 정신을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7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인공위성은 나로호라는 이름이 정해진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나로호는 우리나라의 로켓 개발 사업인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는 로켓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나로호는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는 로켓이 최초의 우주발사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나로호는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는 로켓이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에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나로호라는 이름은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에 대한 열망과 희망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나로호 발사를 통해 우주 개발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었습니다.